WCG 서버가 이전 테스트를 위해 중단됨에 따라, 새로운 연구과제로 뭘 받을까 고민했다.

현재 WCG 서버에서는 새로운 연구과제를 받아오지 못하고 있다. 오늘 오후부터 그래왔다.

현재까지 완료된 작업
현재 작업 중인 데이터와 남아 있는 데이터

위의 것들만 하면 당분간 끝이다.

 

몇 가지 연구과제를 물망에 올렸다.

1순위 Rosetta@Home (생물학. 세포 단백질 분석. COVID-19 연구도 포함되어 있음)

2순위 Einstein@Home (물리학. 중력파 분석)

3순위 LHC@Home (물리학. 입자가속기 데이터 분석)

 

1로 할까 하다가... 전에 잠깐 건드렸던 Folding@Home이 생각났다. 여기도 COVID-19 단백질 분석을 하고 있다. 이건 BOINC를 안 쓰고 자체 프로그램을 써서.... 깔았다. 메인 컴은 이거로 돌린다.

폴딩앳홈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내려받기 : https://foldingathome.org/?lng=en 여기서 자기한테 맞는 OS용으로 내려받으면 된다.

받아서 설치하면 시스템 트레이에 상주프로그램으로 이렇게 뜬다.(검은 동그라미 안)

폴딩앳홈 컨트롤창은 이렇다.

 

[기본설정]

Configure>Idenity 탭의 'Name'에는 내 이름, 'Team Number'에는 소속할 팀 번호를 넣는다. 넣기 싫으면 말고. 나는 Setikah@Home(한국 최대 팀)으로 지정했다. Team code 149281이 거기다.

Passkey는 내 분석에 대한 식별코드인데, 'Click here to~'이걸 누르면 메일로 코드가 날라온다. 이거를 긁어다가 아래 두 칸에 똑같이 붙여넣고 'Save'를 누르면 끝.

Configure>Slots 탭에서는 CPU, GPU 둘 다 사용할 건지, 하나만 사용할 건지 지정할 수 있다. CPU만 쓸 거면 GPU에 클릭하고 'Remove'를 눌러서 GPU를 지우면 된다.

기본설정에서는 CPU와 GPU 모두 사용하게 되어 있다. 나는 개인적으로 GPU 사용은 잘 안 한다. 발열이 심해서 GPU가 죽을까봐 좀 그렇다.(여름엔 쿨링이고 나발이고 그냥 핫팩이라서 싫음-_-;;)

Configure>Advanced에서는 분석과제를 선택할 수 있다.

Cause Preference 아래 역삼각형 모양을 누르면 분석과제를 선택할 수 있다. 나는 역병으로 선택.

아래는 폴딩앳홈의 웹 컨트롤창이다.

별 의미는 없지만... 내 윈도우창의 컨트롤창보다 깔끔해보이기는 하다.

서브컴에는 Resetta@Home을 깔까 생각중이다.

 

메인컴 AMD Ryzen5 3500(Matis) + RAM 16GB + Nvidia GTX1060 3GB

서브컴 intel Pentium G4500(Skylake) + RAM 8GB

 

* 내용추가

폴딩앳홈이 위처럼 자동설치로 하면, 아무리 Configure 창에서 GPU 사용을 제거해도

컴퓨터를 리부팅하면 자동으로 GPU를 끌어온다.

이를 방지하려면 폴딩앳홈 프로그램 설치단계에서부터 설정을 할 수 있다.

최초 설치 진행시 'Custom install'로 들어가서 두 번째 메뉴(gpu 사용 안 하기)를 선택하여 설치하면 된다.

그러면 Power를 'Full'에 놓아도 CPU만 돌아간다.

단, 이렇게 설치하면 윈도우 트레이에 걸리는 Advaced 컨트롤창은 생성되지 않는다.

'IT,물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니터암과 스피커 구입  (0) 2022.02.26
폴딩앳홈 설치방법 재정리  (0) 2022.02.19
WCG 서버 일시중단  (0) 2022.02.10
알뜰폰 무제한요금제 7,900원의 진실  (0) 2022.01.07
WCG 1천만 크레딧 돌파  (0) 2021.12.24

내 컴퓨터로 COVID-19 퇴치에 기여하는 방법입니다.


BOINC(분산컴퓨팅 프로그램)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컴퓨터의 유휴 자원을 활용하여 서버로부터 연구과제를 받아 분석하여 다시 서버로 보내주는 방식으로 연구과제 수행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자원봉사확인서 같은 것은 없지만 일종의 재능기부라고 할까요. 전세계적으로 많은 연구과제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Korea@Home이라는 이름으로 2000년대 초반까지 연구과제를 수행했었으나, 爲政者들의 무지함으로 예산을 줄여 서버를 없애버리는 만행(?)으로 없어진 지 오래입니다.


현재 BOINC 연구과제 중에 COVID-19 퇴치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연구과제는


Rosetta@Home(로제타앳홈)입니다.

로제타앳홈은 애초에 인간 난치병의 단백질 구조를 분석, 예측하여 치료법을 연구하는 연구과제입니다.

미국 워싱턴대학의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AIDS/HIV, COVID-19, 말라리아, 에볼라, 전립선암 및 각종 암,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탄저균(탄저씨병, 탄저병), 기타 바이러스(Other Virus) 등의 질병 연구와 치료제 개발 목적의 기초 연구를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현재 로제타앳홈을 통해 COVID-19의 단백질 구조 모델링이 완료된 상태로 추가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IBM이 주도하는 World Community Grid(WCG)가 COVID-19 퇴치 연구에 참여하려고 데이터를 만드는 중입니다.

WCG는 공익을 위한 비영리를 목적으로 초기 암, HIV/AIDS, COVID-19, 에볼라, 소아암, 근육병, 뎅기열, C형 간염, 웨스트나일, 황열병, 말라리아, 리슈마니아증(리슈만편모충증), 인간단백질 재분석 등 치료제개발 연구 및 차세대 에너지개발, 오염수 식수정화 연구 등 개발연구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저는 WCG와 SETI@Home만 참여하다가 SETI@Home이 중지되는 바람에 로제타앳홈을 추가로 받아 가동시키고 있습니다.


참여방법은 분산컴퓨팅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BOINC)을 내려받아 본인 PC에 설치하고 위에 제시한 연구프로젝트를 추가하면 됩니다.


컴퓨터의 유휴 시간에 가동되게 할 수도 있고, 저처럼 컴퓨터가 켜져 있는 시간 동안 Full로 가동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환경설정에서 메모리 가용 할당량도 조절할 수 있으니 편한 대로 하시면 됩니다.

단, BOINC와 게임을 동시에 구동하면 게임이 영향을 받는 경우도 있으니, 이점 감안하셔서 사용하세요.


저의 경우, WCG 데이터 누적 처리량은 오늘자로 전세계 11,835위에 랭크되어 있고,(2011년 08월부터 참여) 국내 최대 팀인 SETIKAH@Home팀에서는 137위에 랭크되어 있습니다.

현재 컴퓨터 3대에서 가동시키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폰(공기계)에서도 가동시켰는데, 배터리가 사망함에 따라 이는 중지한 상태입니다.

  PC1. CPU AMD Ryzen5 3500 + RAM 16GB

  PC2. CPU AMD 200GE + RAM 8GB

  PC3. CPU intel G4500 + RAM 8GB


[관련 사이트]

BOINC 내려받기 : https://boinc.berkeley.edu/

BOINC 연구과제 설명(한국어판) : Team SETIKAH http://cafe.naver.com/setikah - BOINC 연구과제에 대한 한국어 소개자료로서는 가장 전문적이고 상세함.

Rosetta@Home : http://boinc.bakerlab.org/rosetta/

World Community Grid : https://www.worldcommunitygrid.org/

'IT,물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이팔 피싱메일 주의!  (0) 2020.04.15
크레마 카르타 뷰어 변경  (0) 2020.04.12
브리츠 이어폰 AS 지연-COVID-19로 인함.  (0) 2020.03.28
폰 교체 고민  (0) 2020.03.07
QC없는 USB 멀티충전기 고르기  (0) 2020.03.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