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장하드 케이스를 다시 들이기 시작했습니다.

공미디어디스크에 저장했던 영상들을 조금이라도 살려보고자 HDD에 백업중입니다.

NAS도 생각했는데, NAS의 HDD는 상시 전원이 인가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 측면에서 일반 외장하드보다 수명이 짧을 거라는 판단이 섰습니다. 몇 달 전에 있었던 NAS HDD 사망사건 때문이죠.

(관련글 : https://www.ds2wgv.info/1706 )

Asustor 측에서는 별다른 답변은 받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뭐 죽은 건 사실이니까요. 근데 죽었다 살아나니 더더욱 이상한 거죠. 좀비도 아니고요.

 

NAS보다는 외장하드가 자료 백업에는 더 나을 거라는 판단이 섰습니다.

HDD는 1년에 한두 번 정도만 전원을 인가하면 그만큼 수명은 길다고 합니다.(다나와 에디터의 글을 봤음) 저도 그 점에 어느 정도 동의하고요. 웹서핑 중에 봤는데, 어느 여행작가분은 여행 중 찍은 영상과 사진을 HDD3135, HDD3035에 저장하고, 그거만 책상 한쪽에 쌓아놓으셨는데 30여 개나 되더군요. 케이블과 전원선은 공통이니 하나만 가지고도 충분히 연결해서 잘 쓰겠죠.

 

저도 그걸 보는 순간 머릿속에서 전구가 '땡~'하고 켜지더라고요.

그래서 남은 3TB를, 지난 번에 ipTIME HDD3135를 사서 외장하드로 만들었고, 거기에 열심히 미디어 디스크에 저장했던 영상들을 옮기고 있습니다.

ipTIME 직영 리퍼몰에서 사니까 다소 쌉니다.

HDD3135 기준 온라인 판매가가 28,000원(택배비 별도)인데, 리퍼몰에서 사면 20,580원이거든요.

영상 말고 음원파일도 좀 있고, 문서파일의 이중백업을 위해 이번에 HDD3135 2대를 더 샀습니다.

 

이번엔... ipTIME의 농간(?)으로... 좀 더 싸게 샀습니다.ㅋㅋ

원래 흰색으로 깔맞춤하려고 했는데, 은색이 더 싸게 나왔습니다.

은색 19,700원

흰색 20,580원

합 40,280원에 택배비 2,500원 추가.

현대카드 제로로 결제하면 1.5% 할인인데, 산업체크카드로 하면 5% 할인이라(전월실적에 따라 최대 2천원 캐시백)

이번엔 산업체크카드로 결제했습니다.

새 것으로 사면 58,500원짜리를 40,780원에 샀습니다.

 

ipTIME이 오늘까지 휴가라 휴가 끝나면 사야지 하고 있었더니 그새 물건이 많이 빠졌더군요. 그래서 냉큼 결제했습니다. 재다가 매진되면 속상하니까요.

 

집에서 쓰는 ipTIME 제품은 모두 직영 리퍼몰에서 산 겁니다. 상자가 구겨졌을 뿐 제품 성능은 전혀 이상이 없어서 잘 쓰고 있습니다.

싸게 득템해서 기분이 좋네요.

 

ipTIME 직영 리퍼몰 : http://stores.auction.co.kr/efmnet

최근 집 정리를 하다가, 공CD-R에 저장했던 CD 음원들이 나오더군요. 아버지 드렸던 건데 아버지 차도 폐차한 마당에 굳이 필요하지는 않아 재생 여부를 좀 확인해 보았습니다.

모두 재생이 안 되더군요. 음악CD로 만들었던 게 약 15년 전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불안함이 엄습하여 부랴부랴 영상을 백업해 둔 CD-R과 DVD-R 가방을 꺼냈습니다. 과거에 자막동호회에서 자막 제작에 참여했던 미드가 대부분입니다. 약 150여 장 갖고 있는데요.

어제 20장 정도 작업했는데, 그중 7,8장이 읽어들이지를 못하더군요.

읽기가 가능한 것은 전부 HDD에 백업했습니다.

그 당시에는 공디스크가 백업의 최선이라고 생각해서 많이 했었죠. 최대 30년 정도 간다고 해서 저장하고 잊고 있었는데, 이제 최소 10년, 최대 16년 정도 된 것들이 벌써 읽을 수가 없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특이하게도 수입 디스크(버바팀, HP)에 저장한 것은 비교적 거의 다 읽히는데, 국산 디스크에 저장한 것은 확률 50% 수준으로 인식이 불가하네요.(특히 SKC DVD-R은 5장 중 4장이 읽기 불가. LG DVD-R은 그래도 많이 인식)

많이 날리고 많이 아쉬워하면서 백업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백업장치의 증설도 다시 검토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4bay NAS를 쓰고 있습니다. 4TB, 1TB, 500GB 2개를 현재 자료들로 이중백업을 하고 있습니다.

CD-R, DVD-R의 영상들을 백업하는 거는 여분의 HDD에 하고 있습니다.(3TB 1개, 500GB 2개)

NAS를 또 살까 하다가, 그건 과욕이라 생각되어 외장하드케이스를 다시 사게 되었습니다. DAS가 간편하긴 한데, 전원공급 쪽이 좀 불확실한 부분이 있고, 가격대도 만만치 않아서요.

외장하드에 백업해 놓고 책상 한켠에 쌓아두고 필요할 때마다 케이스에 전원선과 데이터연결선을 껴서 불러들이면 될 거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래서 외장하드케이스는 한 회사 제품으로 몰아서 단계적으로 사고 있습니다. iptime HDD3135로 선택했습니다.

그러면서 백업에 대한 향후 계획도 하게 되네요.

NAS는 외부접속이 필요한 최소 수준(제게는 1~2bay 정도)만 가져가고 나머지는 외장하드케이스를 활용하는 쪽으로 하려고 합니다.

상시 돌아가는 NAS보다는 가끔씩 주기적으로 전원을 인가해주는 게 더 오랜 기간 보관이 가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웹서핑 중에 어떤 분이 이렇게 하는 거를 봤음. iptime HDD 3035, 3135를 한켠에 30개 정도 쌓아두고 라벨링해 놓고 필요할 때마다 전원과 데이터케이블을 연결하여 자료를 끌어내는 것)

조금 빨리, 서둘렀으면 아쉬운 영상자료들을 다 건질 수 있었을 텐데 좀 아쉬운 생각이 드네요.

공디스크 미디어에 오랜 기간 자료를 보관하신 분들은 한번 확인해 보세요.

으흐...

 

저는 현재 ipTIME NAS를 쓰고 있습니다.

nas2dual을 쓰고 있습니다. 동급의 NAS들 중에서는 가성비로는 최고라 생각합니다.

시놀로지, 헤놀로지 다 써 봤거든요.

 

전에는 회사 자료도 좀 넣어놓고 회사-집 간 자료 전송, 백업 등을 위주로 썼는데, 이직하고부터는 이러한 용도가 많이 줄었습니다.

그래도 가족 외 사람들하고 가끔씩 자료 공유가 있기에, 큰 파일은 NAS를 주로 이용합니다.

매우 간편하긴 한데 nas2dual의 파일 탐색기 인터페이스가 참 구리구리합니다.

시놀로지나 큐냅 절반만큼이라도 개선해 주셨으면 하는 바람이 간절합니다.

 

네, 그래서

클라우드 플러그인을 깔아봤습니다만, 다 마음에 안 들어-_-;; 다시 접고 원위치로 돌아왔습니다.

 

ajaXplorer, own Cloud를 설치해 봤는데, 마음에 안 드는 부분이 좀 있더라고요.

일단 저는 HDD 2개를 Single Mode로 사용합니다. RAID를 안 써요. 전부터 지금껏 쓰는 DAS에서 많이 불편함을 느꼈던지라, Single Mode를 고수합니다.

WD 500GB 2개가 꽂혀 있습니다.

 

ajaXplorer을 설치했지만,(설치는 쉬워요. 기본 탑재 플러그인이라서) MySql에서 에러가 좀 있어서 불편.

own Cloud를 설치했지만, 한 번에 전송 가능한 용량에 제한이 좀 있어요. 최대 2GB로 제한돼 있더라고요. 깔끔하긴 한데.

그리고 Single Mode가 좀 발목을 잡기도 하고요. 이럴 바에얀 차라리 1bay NAS가 낫겠다는 생각이 있습니다.

 

결국 다 접고... 컴 HDD에 백업해놨던 파일들을 다시 초기화한 NAS로 옮겼습니다.

인터페이스가 구리구리해도 그냥 좋아요. 오래 써서 정이 든 건가, 하여튼 저는 편해요. 다른 분은 불편할지 몰라도요.

최근에 깨달은(?) 건데, 여행 다니면서 유용하게 쓰고 있습니다. 그날그날 찍은 사진들 백업을 NAS에 원격 접속하여 전송하니 참 좋더라고요.

 

저는 집에서 ipdisk를 쓰면 되고, 백업 부분은 좀 깊게 생각해 볼 부분이라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습니다.

 

기존 백업은

DAS 1개(새로텍 MD-24U3 DAS에 WD 320GB HDD 2개로 문서만 백업)

외장하드 1개(대만 스타덤 외장하드에 도시바 1TB로 문서+사진 백업)

이렇게 해 왔는데,

저의 생활패턴의 변화로,

nas2dual 중 HDD 1개는 백업 전용, 1개는 파일공유 전용 이렇게 구분되고

1TB HDD를 NAS로 변형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즉, NAS 2개가 되는 거죠.

 

그렇게 해서 1bay NAS를 메인으로 놓고

nas2dual을 RAID로 묶어서 백업 전용으로 놓는다(내부망용)... 이런 생각을 구상중입니다.

 

1bay NAS로 물망에 오른 것은

큐냅 TS-128A와 ipTIME nas1dual입니다.

대부분의 사용자가 2bay 이상의 NAS를 쓰다 보니 1bay는 별로인데, 그나마 이 두 가지 기종이 가장 안정적이고 호평을 받습니다. 가성비도 높고요.

제게는 가격적 부담으로 인해 후자를 조금 더 보고 있습니다. 구형 NAS1은 정말 최악의 구조였는데, nas1dual은 이런 문제점들을 개선했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더 끌림.(제조사의 노력이 보이니까)

 

하지만 현재, 회선이 꽉 차 있어 인터넷 회선 제공사로부터 1주일에 1번꼴로 경고메시지를 받고 있습니다.

(LG U+ 광랜(100Mbps) 회선에 유선컴 2대, 무선컴 1대, NAS 1대, 무선AP(ipTIME A8004itl)가 물려 있음)

이 상황에서 NAS를 한 대 더 추가하면 어떤 상황이 될 지가 조금 두렵습니다.

 

기존 시스템에서 간편하게 가려면 돈이 필요한데 돈도 문제고요.

자료는 날리기 싫고요.

 

깊게 생각해 볼 문제입니다.

이러다가 어느 날 갑자기 확 지르기는 하겠지만요...ㅋㅋㅋㅋㅋㅋㅋ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