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에 우분투 깔려다가 이틀 꼬박 지내고 포기했습니다.


전에 회사의 저사양 PC에 우분투를 쉽게 깔아서 칭찬받은(?) 기억이 있어 노트북도 점점 느려져 멀티부팅으로 우분투를 깔아서 쓰려고 했습니다.


문제의 기기는, 2017년 6월에 산 LG 13U370-LR20K입니다.

인터넷강의 정도는 충분히 볼 수 있는 준수한 노트북입니다. 펜티엄 N4200에 램8, SSD 128GB(Sandisk M.2)입니다.



일단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 노트북은 무조건 '윈도우10 64bit'만 설치할 수 있습니다. 다른 것은 절대 불가합니다.


온갖 구글링과, 컴퓨터 관련 커뮤니티 회원님들의 도움을 받아 시도해 봤는데요. 다른 OS 설치는 불가합니다.


몇 달 전에 집에서 쓰던 LG 무선청소기가 배터리 수명이 다 되어 사제로 교체하려 했는데, 이놈들이 락을 걸어 사제 교체가 불가능하게 해놔서 결국 LG 정품 배터리로 22만원 주고 갈았던 기억이 있는데, 불현듯 그 기억이 떠오르네요.



일반적으로 USB로 부팅매체를 만드는데, 루푸스로 MBR-FAT32 모드나 GPT-FAT32 모드로 해서 만들면 된다고 알고 있는데, 이놈은 다른 OS의 부팅 자체를 건너뜁니다.


우분투 설치할 때에 할 수 있는 모든 설정(BIOS 및 윈도우10에서의 부팅설정 등등 모두 다 했음)을 다 했으나 부팅 자체가 안 됩니다. 노트북을 켜면 그냥 윈도우10으로 넘어가버립니다.



구글링 중에 발견한 것이,


이 노트북에서 사용하는 insydeh20 BIOS 버전 5.0대가 GPT-FAT32만을 지원하므로 부팅USB를 이거로 만들어야 한다는 글이 있었으나, 이것도 실패.



두 번째로 발견한 글이, 디벨로이드에서 동일 기종에 우분투 멀티부팅 설치 성공한 사례가 있어 읽어봤는데요,


이놈은 반드시 GPT-NTFS로 USB매체를 만들어야 우분투 부팅이 된다는군요.


단, 설치는 FAT32만 지원하므로,


1. 루푸스로 GPT-NTFS 매체를 만들고


2. 윈도우10 관리도구에서 이 USB의 공간을 분할하여(볼륨 축소 이용) FAT32 영역을 만들고, 거기에 NTFS영역에 있는 우분투 설치파일을 모두 복사해서 옮김.


3. 부팅하면 성공...


이라 하더군요.


그래서 그렇게 해 봤으나,



부팅은 성공이지만,


GRUB 창이 떴으나 'install Ubuntu'라는 메뉴가 아예 없더군요. 단, by Manufactured install 메뉴는 있는데 그거로 하면 디스크체크 후 바로 시스템이 다운되어 버립니다.


결국 포기하고, 팔아버리고 레노버 S150-11을 사려고 마음먹습니다. 프리도스인데 우분투가 잘깔린다 하네요. 크기도 마음에 들고요.



그래서 커뮤니티 두 곳의 장터에 올려놓고, 다 포기한 심정으로 윈도우10 초기화를 실행했습니다.


그런데 초기화해서 그런지 노트북 구동 속도가 다시 빨라졌네요.+_+


윈도우10 Home 64bit만 남기고 LG 관련 프로그램은 싹 지우고,


V3 Lite, 반디집, 폴라리스 오피스, 리브레오피스만 깔았더니 나름 구동속도가 만족스럽네요. 오피스도 둘 다 써 보고 하나만 두고 지울 예정입니다. 결국 새 노트북 구입은 물 건너 갔습니다.(돈을 아꼈다는 기쁨은 있음.)



파는 글은 커뮤니티 한 곳만 남기고 한 곳은 지웠습니다.

팔기도 애매하고, 쓰기도 애매하고요. 속도는 마음에 들지만

사용할 일이 많이 없어서요. 2개월에 한두 번 사용할까 정도라서요. 


어쨌든 이놈 덕분에 이틀을 그냥 허송세월했네요.


노트북은 데스크톱의 세계와는 또 다름을 이번에 절실히 느꼈습니다. 완전히 새로운 세계입니다.ㅠㅠ

어제에 이은 노트북 구입 후기다.

이거다.

현재 최저가 528,000원 잡혀 있다. 정가는 67만원 전후인 것으로 알고 있다.

일단 가벼워서 찜했고, 나는 뭐 그렇게 하이엔드 필요없어서 이걸로 선택했다. 갖고다니면서 쓸 일이 많으니까.

 

어제 11번가에서 532,920원에 샀고,

카드 청구액은 528,966원.(현대카드 Zero)

기존 노트북 관련 부품 판 돈 60,000원을 여기에 보태니,

총 결제금액 468,966원이다.

 

이제부터 실사진 되시겠다.

뭐 다른 사진들은 다른 블로거들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되겠다.

나는 故U13s와 비교샷 위주로 가겠다.

 

이녀석은 은색밖에 없다.

멀리서 보면 맥북에어로 착각할 만한 소지가 매우 크다. 살 때는 몰랐는데, 이것저것 세팅하다 보니 그렇게 느꼈다.ㅋㅋ

오른쪽 하단의 LG 마크만 없다면 완전 똑같지 않을까 싶다.ㅋㅋ

그래도 LG 마크도 멋지다. (금색이다) ←(수정:눈깔이 삐었었음. 은색임-_-;;)

 

펼친 모습이다.

약간은 촌스러워 보인다.

어댑터는 19V 2.1A를 사용한다.

 

故한성U13s와 크기 비교 샷이다.

U13s는 11.6"이다. 딱 A4용지 크기다. 그거보다 쬐끔 크다.

 

하지만 두께는 많이 차이가 난다.

13U370은 왼쪽 옆에 Micro SD 슬롯이 하나 있고, USB 2.0 슬롯이 2개, 전원 단자가 있다.

이건 후면 모습

 

이건 오른쪽 측면이다. 켄싱턴락, HDMI 단자, USB 3.0 포트, Micro USB 포트, 이어폰 단자가 보인다.

 

자판 비교 되시겠다.

첫 번째가 故 한성 U13s이다.

무난한데, 가끔씩... 오래 치면 오타율이 높아진다. 11.6"의 한계일 수도 있겠다.

터치패드는... 최악... 완전 저질이다. 오작동율이 너무 높다. 마우스 꽂아 쓸 때는 인식 안 되게 해 놓고 썼다.

 

LG 13U370의 자판이다. 간격이 조금 더 넓어져서 입력이 쾌적하다. 키감은 매우 부드러워서 누른 듯 안 누른 듯. 소리도 거의 안 난다. 키스킨을 사은품으로 줬는데 뭐 굳이 뜯을 일이 있을까 싶다. 터치패드도 이전보다 훨씬 편해서 좋다.

 

아쉬운 점은... 슬림형 울트라북이다 보니 랜포트가 없다. 이렇게 부품을 따로 사서 써야 한다. 위의 Micro USB 포트에 껴서 써야 한다.

LG전자 서비스센터에서 7,500원에 살 수 있다.

 

프로그램은... Windows 10 Home 64bit(DSP)에, LG의 잡다한 자체 프로그램들이 깔려 있다. 뭐 쓸만하시겠지만... 나는 다 지우고 내 프로그램들을 깔았다.

아마도 이게... 나에게 있어 최초의... "All 정품만 깔린 컴퓨터"가 아닌가 싶다.ㅋㅋㅋㅋㅋ

한컴오피스2010(한글+한셀+한쇼), V3 365, 앱체크 프로까지. 모두 다 내 라이센스 정품이다.ㅋㅋㅋㅋㅋ

 

SSD는 128GB인데 윈도우10 백업모드가 들어있는 것 같아서 생각보다 용량을 많이 잡아드신다.

샌디스크 M.2 2280이 들어있더라.

기본 RAM은 삼성 DDR3L PC12800S 4GB가 꽂혀 있는데, 이건 U13s에서 쓰던 동일 기종 8GB로 교체했다.

 

총평

장점

 1. 가볍다. (1.3kg) : 한성 U13s도 1.29kg이었는데, 판대기가 커서 그런지 약간은 무겁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큰 차이는 없어 보인다.

 2. 맥북에어처럼 보인다.ㅋㅋㅋㅋㅋ

 3. 얇다.

 4. 알루미늄 본체라 열 배출이 용이하다.

 5. 하판 뜯기가 엄청 쉽다. - 전의 것들은 자판도 뜯어야 하고, 하판 뜯는데 생쇼를 하는데, 이건 그냥 하판의 볼트 6개만 풀면 끝이다. 램교체와 SSD 교체가 쉽다.

 6. 윈도우10 DSP가 같이 들어 있어서 편하다.

 

단점

 1. 알루미늄 본체라 잔흠집이 잘 날 듯하다. - 언제 힐링쉴드 본사 가서 보호필름 사서 붙여야겠다.

 2. LAN카드가 100Mbps다. - 나는 뭐, 집에서 100Mbps 회선을 쓰기 때문에 안 불편하지만 빠른 거 좋아하시는 분들은 싫을 수도 있겠다 싶다.

 3. 램슬롯 1개, SSD는 M.2 슬롯 1개다. 2.5" 저장장치는 장착이 안 된다.

 

장점이자 단점

 1. 지원 램이 DDR3L이다. - 호환성은 좋으나 DDR4가 아니므로 속도 뭐시기 좋아하는 분들은 구리다고 말할 수도 있겠다.

 

워드, 인터넷강의 시청, 영화보기, 간단한 웹서핑 정도 하시는 분께 추천하고 싶다.

음... 생돈 나간 것 같아 기분이 좀 그렇다.

 

지난 금요일 오후에 내 노트북이 急死했다.

일하다가 갑자기 퍽~ 나갔다. 동영상을 통한 프리젠테이션 중에 말이다.

무지 더웠던지라(32℃), 발열에 문제가 있는 게 아닐까 했다. 에어컨 가동되는 방에 와서 열 좀 식히고 다시 켜봐도 증상은 동일.

컴메딕 사장님께 전화드려봤더니, 아무래도 사망한 것 같다고 하신다. 보드가 나갔거나, CPU가 나갔거나.

 

전원부에 문제가 있었음에도.... 소생해서 잘 돌아갔는데.

1,209일만에 사망했다. 3년 4개월밖에 안 됐는데 말이다.

 

[謹弔] 한성 U13s

CPU Intel Celeron 1037U / RAM 삼성DDR3L PC12800S 8GB / SSD Fujitsu FSB 128(128GB/샌드포스2241/Intel MLC)

 

하아... 아쉽게 됐다. 이제 쓸 일이 많아지는 시기에 왔는데 말이다.

 

다시 急 구해야 할 상황이 되었다. 빠르고 신속하게. 길게 고민하면 눈만 높아진다.

용도를 제한했다.

인터넷강의 시청, 간단한 웹서핑, 프리젠테이션. 13.3", 그리고 국산 상표.

이렇게 했더니 삼성 NT500R3W-KD2S와 LG 13U370-LR20K의 딱 두 가지가 나온다. 원래는 11.6"을 사려고 했으나 이제는 몇 종류 안 나오고, 저장장치 등의 확장성이 좀 아쉬워 보인다.

 

가격은 만족스럽지 못했다.

삼성은 OS가 제공되지 않는 대신 성능이 좀 높다. LG는 OS가 제공되는 대신(윈도우10 DSP) 성능이 약간 낮다.

뭐... 성능이 낮다고 내 용도에 완전 벗어나는 건 아니다. 1037U도 만족스럽게 썼는데 뭐.

결국 OS를 제공하는 LG 제품으로 샀다.

삼성이 디자인은 마음에 드는데, OS를 따로 사면 구입가격이 확 점프를 하거든.

 

근데 막상 LG 노트북을 받아보니 나쁘지 않다.^^

 

반나절 정도 세팅하느라 오늘의 일정이 다 내일로 순연됐다.(일이 산더미가 됨.ㅠㅠ)

 

오늘부터 LG 노트북의 삶이 시작된다.

내일은 수령 리뷰를 올려보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