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여행시 결제수단에 대해 한마디 적고자 한다.

 

일단 내가 가장 선호하는 것은 신용카드+현금이다.

일본이 신용카드 사용을 덜 하는 건 사실이다. 하지만 도심은 웬만해서 다 신용카드가 된다. 도쿄도나 오사카시, 후쿠오카시 등 관광지 대도시를 안 벗어나고 룰루랄라 할 거면 신용카드만 있어도 된다. 주의할 점은, 만에 하나 있을 결제장애를 대비해 2가지 결제브랜드의 카드를 소지할 것. 나는 이 경우도 겪어봤다. 한 종류만 들고 나갔다가 거지될 뻔했다. 그 다음부터는 꼭 2개 결제브랜드(JCB, VISA)의 카드를 들고 간다.

 

신용카드는 해외결제대행사별로, 국내카드사별로 수수료율이 천차만별이므로 취사 선택해서 하기 바람.

전에 수수료율로 몇 번 포스팅하기도 했는데, 카드를 잘만 만들면 수수료율을 0.18%대까지 낮출 수 있다.

나는 신한 Hi-Point JCB를 쓴다. 서구권에서는 JCB 결제망이 빈약한데, 이게 일본 해외결제대행사다 보니 일본에서는 편하게 쓸 수 있다.

이게 다른 JCB와 달리 수수료율이 0.18%이다.(JCB는 0%, 신한카드 0.18%)

이번에도 덕을 좀 봤다. 수수료율과 환율이 복합이 되어서 꽤 낮은 수수료율을 챙겼으니까. 정확히는 0.179% 수수료가 붙었다.

 

이거 외에 체크카드들 많이 쓰시는데, 개인적으로 하나트래블로그카드는 추천하고 싶지 않다.

남들 한 번도 못 겪을 예외적인 경우를 한방에 다 겪은지라...

 

한화를 바로 엔화로 환전해서 결제할 수 있고, 수수료율이 0%라는 점은 상당히 매력적인데, 하나카드 본사에서도 스스로가 결제방식이 어마어마하게 복잡한 카드라고 골치가 아프다고 인정했다. 즉, 사용자는 편한데, 카드사 내부에서는 결제가 매우 복잡하게 꼬여 있다는 거다.

 

이번에 경험한 건데, 해외 결제에서 카드매입전표가 (하나카드가 명시한) 특정 기간 내에 돌아오지 않으면 엔화 결제분과 상관없이 한화 계좌에서 돈을 강제로 빼 간다. 근데 그 매입전표를 기다려주는 시간이 매우 짧다는 것. 1개월이 채 안 된다.

그리고 해외결제분이 자동으로 결제 취소가 된다. 그러면 그때부터 사용자나 카드사나 셈법이 매우 복잡해진다. 여행 전에 예매했던 일본 고속버스표 한 장이 지금 그렇게 모호하게 중간에 붕 떠 있다. 그래서 지금 카드도, 계좌도 해지 못 하고 일단은 기다리고 있다.(언제 재청구될 지 모르니)

 

보통 일반적인 신용카드의 경우 해외매입전표가 늦게 돌아와도 그 기간을 끝까지 기다려준다. 역병기 이전에 신한 JCB, 삼성 Master, 현대 VISA를 써 본 경험으로 그랬다. 그때 일본 어느 매장에서 결제한 게 45일만에 매입전표가 돌아온 적이 있었는데, 그때까지도 국내 카드사는 기다려줬다. 그러고 나서 내게 청구했다.

 

또한 실수로 결제-취소-결제를 번복하는 경우, 부정거래로 간주해서 그 거래 자체를 취소해버리고, 사고발생으로 하나카드가 못 받을 거라고 판단하여 결제분을 고객의 한화 계좌에서 예치금으로 강제 인출해버리는 만행을 저지른다. 사고가 나지도 않았는데 사고날 것을 우려하다니...  마치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가 연상되는 정책이다.

체크카드를 할 거면, 하나트래블로그카드처럼 극강의 수수료율은 자랑하지 않지만, 적당한 인출수수료와 결제수수료율 0%인 카드로는 신한 글로벌+ 체크카드를 추천하고 싶다.

 

차라리 수수료 없이 쓸 거면 '라인페이'를 쓰기를 추천한다.

네이버페이의 계좌연동을 라인페이에 연동시킬 수 있다. (아직 네이버페이-카드연동을 라인페이에 연결은 불가능)

네이버페이 앱을 깔면 거기서 라인페이로 바꿔 결제할 수 있다. 엔화로 결제하면 환전수수료 없이 자동으로 한화가 빠져나간다.

단점이 있다면, 네이버페이 포인트가 먼저 빠져나간다. 그 다음 충전해놓은 원화가 빠져나간다.

그래서 내 주변인들은 서로 일본가기 전에 '네이버페이 포인트 선물하기' 기능을 이용해서 지인에게 전달, 맡겨두고 나간다. 포인트가 적으면 상관이 없는데, 나처럼 네이버페이 포인트를 모아서 가전제품을 사는...-_-;; 이런 경우는 포인트가 소중하기 때문이다. 나중에 다시 선물하기 기능으로 돌려받으면 된다.

(네이버에 복수ID 가입이 허용된다고 해서 나의 다른 ID에 선물하기...로 해서 키핑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건 네이버에서 구동이 안 된다)

 

그리고... 돈은 해외에서 ATM기기로 인출할 생각 하지 말고, 좀 제발 갖고 나가고, 매일 얼마 썼는지 적자. 영수증 웬만하면 99% 챙겨준다. 그거 받아서 그날 잠들기 전에 잠깐만 메모하면 된다.

적당히 준비해서 갖고 나가고, 신용카드나 라인페이를 서브로 쓰면 된다.

매일 지출내역을 적는다면 하나트래블로그카드가 독이 될 수도 있다.(이게 엔화지출인지 한화지출인지 모호해질 때가 있음)

 

다음 번에는 교통수단 관련 카드에 대해 끄적여 보겠다.

'일본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차 Japan  (0) 2024.08.05
20차 일본여행 준비중  (0) 2023.06.07
간사이 지역 노포  (0) 2023.01.19
19번째 일본여행 비용 정산  (0) 2023.01.18
아리마온센에서 먹은 것들(부제: 하나코야도 가이세키)  (0) 2023.01.18

일본 1/5~1/12 자유여행비용 정산입니다.
오늘 저녁에 카드결제 청구분이 다 들어와 정리했습니다.

혼자 가면 밥도 대충 먹고 다녀서 요정도 씁니다.

하도 다녀서 맛있다고 추천하는 것들이 다 맛 없습니다.ㅋㅋ
중간에 감기가 걸렸는데, 일본이 현재 제8유행기 돌입해서 하루에 몇백 명씩 죽고 13여만 명씩 감염돼서 공포감이 극심하여 감기약 먹고 다니면서 일정을 느슨하게 조정했습니다. (오사카가 사망자 수 및 감염자 수가 가장 많음)

* 여행간 곳 : 간사이 지역 - 오사카시, 오사카부 미노오시, 나라현 덴리시, 효고현 아리마초, 교토시
* 결제수단 :
(1) 신용카드
  - 일본 : 신한Hi-Point JCB / 수수료율 0.18%
  - 국내 : 현대카드 Zero Edition2 / 무조건 0.7% 할인/ 대중교통, 네이버페이 등은 무조건 1.5% 할인
              하나트래블로그 체크카드 Master (일부 예약시 사용하였으나 문제가 많은 카드라 실전투입 제외)
(2) 전자화폐
  - 라인페이 (네이버페이 연동. 현금충전만 사용가능. 신용카드 연동 불가. 100,000원 충전해갔음)
  - ICOCA (일본 간사이지역 교통카드. 잔액 3,240엔에 현지에서 2,000엔 충전하여 5,240엔)
(3) 현금 엔화 66,284엔 소지

* 한화 총 사용금액 1,501,066원
* 엔화 총 사용금액 38,751엔

평소 혼자여행 때보다 덜 썼네요.ㅎㅎ

 

1. 신용카드 사용내역

2. 엔화 현금 사용내역

3. 라인페이 사용내역

4. ICOCA 사용내역

* 19번째 일본여행을 하면서 가져간 노트북에 매일 간단히 所懷를 적어놓았던 것을 옮겨옵니다.

 

어제 온천 다녀오면서 문제가 발생.

사실상 어제부터 일본에 역병 제8유행기가 시작했다고 TV에 나왔다. 지방 몇몇 도시에는 병상이 역병환자로 넘쳐나고, 집 밖으로 나오지 말고 병원으로 전화해 신고하고 집에서 약 배달을 기다려달라는 방송도 나왔는데,

온천에서 나오면서 머리를 덜 말렸는지, 감기기운이 있었다.

목이 칼칼하고 손발에 열이 났다. 다행히 마빡에는 열이 없었다.

득달같이 구스리에 달려가서 약을 샀다. 종합감기약 한 통, 목 소독 스프레이 한 통, 목 염증 소염제용 목사탕. 이렇게.

호텔방의 히터도 2℃ 정도 높여서 좀 덥게 틀고 이불 잘 덮고 잤다.


오늘은 걍... 다 귀찮아서
시내 쇼핑을 했다.

아로우 호텔의 아침. 늘 많지 않으면서도 든든하게 먹을 수 있어서 좋다.


동생이 말한 랑콤이랑 에스티로더 사러 다이마루에 갔다. 면세 포함 15% 할인행사중이었다. 어제 사려고 했는데 중국놈들이 많아서 그냥 왔다.
그런데
랑콤은 있는데,
에스티로더 갈색병이 110ml 짜리가 없네. 물어보니 일본 내에서는 공항에서도 안 판다고 말씀하심. 50ml가 최고 크기라고 해서 못 샀다.

랑콤은 사진 잘못 보여줘서 잘못 사고 9층의 면세코너에 면세받으러 올라가다가 8층에서 잘못 산 것을 인지.-_-;;

다시 1층까지 내려가서 미안하다고 말하고 환불하고 다시 결제했다. 당연히 일본어로.ㅎㅎ

그리고 내꺼 살 겸, 도큐핸즈에 갔다. 난 도큐핸즈 쇼핑이 가장 기분이 좋음.ㅋㅋ

내꺼 : 일본향 멀티탭

돼지코 끼우면 자꾸 늘어져서 USB 2포트 충전기 2개는 이미 오래 전에 일본향 제품을 사서 갖고다녔는데, 디지털기기를

다 갖고나가다 보니 콘센트가 모자랄 떄가 많아서 멀티탭이 필요했다. 무식하게 긴 것 말고 적당히 짧은 것으로.

일본향 3구 멀티탭 2개 샀다. 1,367엔

드디어 산 내맘에 드는 3구 멀티탭1
이번에 산 멀티탭2(왼쪽)와 전에 샀던 일본향 2구 USB멀티충전기
전에 멀티충전기 2개 샀는데 이렇게 쓴다.

아버지가 사다달라는 유스킨 보습크림은 구스리 가서 샀고, 마유크림 원래 쓰던 것 외에 다른 것 보여서 하나 더 사 봤다. 좀 싼데... 써 봐야 알겠지.

방에 와서 호텔밥으로 점심 먹고(돼지고기 두루치긴데... 간장에 볶고 불맛소스 넣어서 맛있게 먹었다. 850엔)

이렇게 후식까지 850엔이면 좋지 아니한가!

그 다음, 원래 목표했던 것들 사러 비쿠카메라 갔지만...

가격이 마음에 안 들어서 그냥 돌아옴.

 

소니 링크버즈S 면세 포함 15% 할인 22,440엔인데... 한국에서 199,000원.-_-;;


크리에이티브 사운드블라스터Z se 면세 포함 15% 할인 13,455엔인데, 한국에서 148,000원.

유의미한 가격차가 없어서 돌아섬.

 

딱 이거야! 이건 사야돼! 하는 상품이 이젠 없는 것도 아쉽다.


나노블럭 잠깐 혹했으나, 집에 안 만들고 쌓아놓은 게 많아서 패스~

자주 가던 이자카야... 도톤보리 아이아이바시쿄지 주변에 있던 데 갔는데 없어졌고...

타코우메 혼텐 갔는데 오늘은 별로 들어가고 싶지가 않더군.

오다가 쿠시가츠 잔잔도 생각했는데 별로고...

타코우메 혼텐. 170년된 오뎅꼬치집. 도톤보리 끝자락에 있다.

찹쌀떡에 딸기나 과일 넣어서 파는 것들 가게 있는데,

이미 제주도에서 먹어본지라...(서귀포 올레시장에 딱 한 곳 있음. 독자개발이라고 우김. 귤 넣었음) 패스.

그냥 또 훼미리마트 가서 이것저것 사들고 들어옴.

라인페이 결제 안 돼서 또 무적카드(JCB)로 결제.

 

내일은 양손을 무겁게 하여 킨테츠나라선 야마토사이다이지 근처로 나간다.

일본인 친구와 만나기로 약속이 되어 있었거든.
와쇼쿠집 예약해놨다 하니 가서 점심먹고 오려고 간다.

날씨가 우중충하고 싸늘한데 실내는 덥고 해서 인공적인 일교차가 심한 하루였음.
역병의 불안감은 계속 도사리고 있다. 이럴 때는 일본어를 몰랐으면 좋았겠지 않나 싶은 생각도 있다.


이제 쇼핑 아니면 도시는 안 오지 않을까 싶다.

 

끝.

작년 9월 중순경부터 일본에서 네이버페이 결제가 가능해졌습니다.

직접결제는 아니고 네이버 계열사인 일본 네이버의 라인페이(LINEpay)를 연동해서 결제하는 방식입니다.

 

원본 안내문은 https://campaign.naver.com/japan_naverxlinepay/

 

[네이버페이 X 라인페이]

이제, 일본에서도 네이버페이 됩니다. 55만 라인페이 가맹점에서 네이버페이 하세요!

campaign.naver.com

원본 Q&A는 https://help.pay.naver.com/faq/list.help?categoryId=10622 

위 링크를 참조하세요.

제가 이 글을 쓰는 이유는, 저 안내문에 있는 것과 앱이 업데이트로 변했기 때문에 잊어버릴까봐 메모하는 겁니다.

 

일단, 일본의 라인페이는 한국의 삼성페이, 중국의 알리페이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본 내 점유율 70% 정도이며, 신용카드 결제가 안 되는 매장도 라인페이는 결제가 됩니다. '한국만 쓰는' 카카오톡으로 연동해서 모든 정보를 볼 수 있듯이, 일본도 라인을 통하면 각종 생활정보, 맛집, 쿠폰, 쇼핑, 결제까지 다 지원되는 디지털 포털의 성격을 띱니다.

 

라인페이는 기본적으로 '포인트 결제' 방식이어서 계좌연동 및 충전이 필요합니다. 물론 일본 내 라인페이는 신용카드 연동이 됩니다만, 네이버페이 연계결제에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라인페이를 사용하시려면 반드시 네이버페이에서 계좌연동이 필요합니다.

네이버페이포인트로 먼저 결제되고, 모자르는 금액은 계좌연동을 통해서 자동충전시스템이 작동하여 결제되는 방식입니다. 사전에 계좌에서 네이버페이포인트를 충전시켜 놓고 가셔도 되겠지요. 네이버페이에 연동한 국내 신용카드는 라인페이 결제연동이 안 됩니다.

 

장점은, 해외결제수수료가 0입니다. 환전수수료? 없습니다.

현재 신용카드 중에 최저 수수료를 자랑하는 게 JCB오리지널인데 0.18%(신한 하이포인트JCB, NH올바른트래블 JCB)

체크카드는 신한 글로벌+ VISA가 0%(해외결제 수수료율이 1.2%인데, 캐시백이 해외결제 무제한 1.2%임)입니다.

 

이러한 상황이니 복잡하게 매도율, 환율 계산할 필요 없이 네이버페이 결제앱을 이용해도 되겠지요.

그래도 해외여행은 항상 변수가 있으니, 현지통화 현금, 해외결제 가능한 신용카드는 꼭 여유로 챙기시기 바랍니다.

 

네이버페이-라인페이 연동결제는 이렇게 합니다.

1. 네이버페이에 접속해 내 계좌 연동 등록을 합니다.

네이버페이 많이 써보신 분들은 쉽게 하실 수 있어서 캡처는 생략합니다. 하라는 대로 하면 쉽게 등록됩니다.

2. 일본 가기 전에 미리 네이버계정 환경설정을 수정합니다.

해외로그인 차단 해제, 위치기반 검색 ON이 필수입니다.

3. 일본에서 물건 사고 결제시에는 이렇게 합니다. - 네이버앱 기준

 (1) 네이버앱 실행 후 빨간 원 안의 'Pay' 아이콘을 터치합니다.

 (2) 그럼 내 네이버페이 창이 뜹니다. 아래의 '현장 결제'를 터치합니다.

 (3) 그럼 각종 정보가 보이는 통합창이 뜨면서 결제비밀번호 입력 메뉴가 뜹니다. 본인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4) 그럼 바로 이렇게 현장결제 메뉴가 뜹니다. 첫 메뉴는 네이버페이 포인트 결제 메뉴이고 오른쪽으로 넘겨 보면 내가 등록해 놓은 신용카드 결제창이 뜹니다. 그런데 위에서 말했듯이 어차피 네이버페이-라인페이 연동은 포인트결제밖에 안 됩니다. 붉은 원 부분을 터치합니다.

 (5) 그러면 이렇게 결제방식이 3가지가 뜹니다. 일본에서 결제하실 때는 '라인페이(해외)'를 터치하세요.

 (6) 그러면 결제창이 이렇게 바뀌면서 QR코드와 바코드가 동시에 보여집니다.

여기서 직원이 QR이나 바코드를 스캔해서 결제를 진행하면, 모아놓은 포인트가 먼저 결제됩니다. 전 이 포인트로 특정 상품을 사려고 열심히 모으는 중이라, 이게 결제되는 게 너무나 싫습니다. 그럼 일본 출국 전에 연동계좌를 통해서 미리 네이버페이 포인트를 충전시켜 놓고 나가는 것도 한 팁이겠죠? 포인트 연계 결제이니까요.

 

또는, 별도의 네이버페이 앱을 설치하시면 위 과정 중에 (1)~(3)은 다 건너뛰고 현장결제 메뉴가 바로 뜹니다. 거기서 결제비밀번호 6자리를 눌러서 '잠금 해제'를 하시고 결제수단을 라인페이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맨 위 네이버 안내에 보시면 매장 계산대의 QR 코드를 스캔하는 방식도 설명하고 있는데요, 올해 6월 30일부터 그 방식은 지원하지 않고 있습니다. 일본 네이버에서 라인페이와 페이페이 앱(일본 내 다른 디지털화폐)의 통합사용 전산작업이 진행중이라 중단한 상태이니 참고하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