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에 Emsisoft 1사용자용을 사서 집PC 3에 깔았다.

V3 365보다 쓸데없는 것을 더 촘촘하게 잘 잡아내 줘서 좋다. 그새 알게 모르게 6건이나 추려냈다.

역시 비트디펜더의 가장 최신 엔진을 사용하는 1티어급 백신다웠다.

그래서 더욱 신뢰를 갖고 1사용자용을 하나 더 샀다. 이건 집PC 1, 즉 메인 PC의 백신을 바꿔보기로 헀다.

 

V3 365도 세부 설정을 높이면 좋은데 랜섬웨어 탐지툴이 빠져 있어서 좀 아쉽고, 우선은 15년 이상 유료버전을 써 와서 그런지 좀 지겹기도 했다. 성능 좋고 가벼우면 뭔가 바꿔보고 싶었다.

 

https://www.emsisoft.co.kr/support/license-register.asp

 

EMSISOFT 라이선스 등록 안내 : 활성화코드 등록

EMSISOFT 라이선스 등록은 웹콘솔에서 회원등록 후에 워크스페이스에서 등록하고 관리형으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엠시소프트 안티랜섬웨어 등록

www.emsisoft.co.kr

이대로 설치해야, 나중에 PC를 바꾸거나 부품을 바꿔도 OEM버전처럼 고정에 이동불가가 안 된다.

 

구입 전에, 국내 유통사인 소프트메일 쪽에 문의를 해서 my emsisoft 로그인 1계정에 2카피가 등록 가능하냐고 문의를 해는데, 안 된다는 쪽으로 답변을 주셨으나, 기존 사용중인 emsisoft 계정에 들어가서 라이센스 등록을 한번 해 보라고 하셨다. 그래서 되면 되는 거라고. 실제로 이렇게 설치해 본 적이 없다는 답변을 주셨다.

 

이미 나는 지난 9월에 메인 관리자 계정을 생성해 놨기에 그냥 로그인했고

메인 오른쪽 상단에 있는 'Create Workspace'를 눌러서 새로운 작업 공간을 먼저 만들어 봤다.

그걸 만드는 과정에서... 1계정에 2라이센스를 등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얼추 파악했다.

1계정에 홈용 라이센스를 최대 5개까지 등록할 수 있는 안내가 나왔다.

 

그렇게 만든 뒤에, 소프트메일 측에서 권고한 라이센스 활성화 여부를 테스트해 봤다.

Settings>apply license keys에 새로 산 라이센스키를 등록해 봤더니, 등록이 잘 된다.

 

그래서 잘 설치가 되었고,

my emsisoft 1계정에서 2대의 PC를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구입은 여기서: https://smartstore.naver.com/avast

 

소프트메일 :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AVAST 한국총판 (주)소프트메일

smartstore.naver.com

 

잊을까봐 요령을 적어둔 것이다.

2008년경부터 안랩 V3 제품군만 사용해 오다가 이번에 부득이한 사유로 외산 백신을 써보게 됨.

ESET, 어베스트, 비트디펜더를 염두에 두고 보다가 비슷한 성능이라는 EMSISOFT를 선택함.(이하 '엠시'라 칭함)

 

엠시 공식수입사인 소프트메일에 2차례 문의했고,

네이버 바이러스 제로 카페에서 여러 차례 자문을 구했음.

양쪽 다 친절하게 기술적인 측면에서 조언해주심.

 

구입하면 문자로 활성화코드가 날라오고

메일로 설치안내문이 옴.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설치와 다르니, 여기 설명대로 해야 함.

이유는 하다 보면 알게 됨.

 

http://my.emsisoft.com 접속하여 계정생성을 함.

 

여기서 계정생성
계정생성 후 로그인할 때마다 인증코드를 받아서 입력해야 함.
이렇게 인증코드가 바로 날라옴.
마치 기업용 백신 관리창 같은 게 열림. 여기서 다 설정할 수 있음. 4650G는 내가 설치한 PC의 이름.
보안설정은 프로텍션 팔러틱스에서 다 설정 가능.
파일가드, 컨텐츠필터링 기능이 강력함.
윈도우 확장 설정 기능도 있고, 언어도 한국어로 설정 가능.
해당 백신을 설치한 PC의 로그기록 확인이 가능함.
이게 그 세부기록

 

설치방식은 서버-클라이언트 방식으로, 서버에 관리계정을 생성하고, 업체에서 받은 활성화코드를 입력하면, 설치파일을 내려받아 설치되고, 자동인증되는 형식임.

물론, 그냥 설치프로그램을 내려받아, 그 프로그램 안에서 인증받을 수도 있음.(V3 365처럼)

그런데 그렇게 하면, 차후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나 포맷 등의 사유로 재설치할 경우 인증이 안 됨. 윈도우 DSP나 OEM처럼 만들어놨음.

 

관리창이 있다는 것은, 기업용 백신처럼 해 놓았다는 건데,

이게 참 좋은 게, 집중관리해야 할 PC가 있을 때에 좋다는 거다. 나처럼 홈네트워크에서 PC를 4대 관리할 경우 엄한 짓을 하는 PC에 이걸 깔았는데, 내가 어디서든지 로그를 보며 감시하고, 프로텍션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웹컨텐츠 필터링은 상당히 유용한 기능 중 하나다.

보통은 만 12세 이하를 위한 컨텐츠 필터링 기능이 있는데, 이녀석은 그냥 다 차단이다.

도박, 성인 등으로 그냥 다 차단하게 만들어놨다.

 

단점이자 장점은, 자체 방화벽이 없다. 방화벽이 없어서 가볍고, 자체 엔진으로 윈도우 방화벽을 감시한다고 하는데,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공유기의 펌웨어만 잘 관리하면 윈도우 방화벽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특이한 게, 찾다 보면 이 백신은 안티랜섬웨어툴로 알려져 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나도 구입 전에 ESET과 선택의 고민을 많이 했다.

근데, 백신이 맞다.

백신의 엔진은 비트디펜더 엔진인데, 알약 같은 구형...2017년산 구형 비트디펜더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2024년 신형 엔진을 사용하므로 기본 성능 자체가 비트디펜더와 동급으로 보면 된다.

랜섬웨어는 대체로 사전탐지가 주목적인데, 그건 자체 엔진을 쓰는데 평가가 좋다.

결론적으로 여러 테스트에서 ESET, 어베스트, 비트디펜더와 동급으로 본다.

 

나는 특판가 7,700원에 샀는데, 가격이 원상복구되어도 크게 비싼 것 같지 않다.

 

지금 복잡하게 꼬인 V3 365 4PC 문제를 해결중인데, 해결되고 나면 이 백신도 좀 생각해봐야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