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어주십시오'로 고쳐야 합니다. '주십시오'는 '주다'의 어간 '주-'에 합쇼체 종결 어미 '-ㅂ시오'가 결합한 것입니다. '주세요, 해요, 먹어요' 등에 쓰이는 보조사 '요'는 높임의 '-시-' 다음에 바로 결합할 수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보게 되는 '어서 오십시요', '안녕히 가십시요', '참고하십시요', '수고하십시요' 등은 모두 맞춤법에 어긋난 표현입니다. 우리말에서 종결어미는 '-요'가 아니고 '-오'이기에 '어서 오십시오', '안녕히 가십시오', '참고하십시오', '수고하십시오'라고 해야 올바른 표현입니다.
‘~이오’와 ‘~이요’, 어떻게 다른가요?
한글맞춤법 제 15항을 보면, 종결형에서 사용되는 '-오'는 '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그 원형을 밝혀 '오'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이것은 책이오. - 이것은 책이요.
이리로 오시오. - 이리로 오시요.
이것은 책이 아니오. - 이것은 책이 아니요.
연결형에서 사용되는 '-이요'는 '이요'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이것은 책이요, 저것은 붓이요, - 이것은 책이오, 저것은 붓이오,
또 저것은 먹이다 또 저것은 먹이다
'이것은 책이오', '이리로 오시오'에서 밑줄 친 부분은 각각 [채기요],[오시요]로 소리나지만, '책+이(서술격 조사) +오', '오+시(높임을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오'와 같이 종결어미 ‘-오’가 사용된 경우이므로 소리나는 대로 적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붓이요, 저것은 먹이다.’에서는 종결어미 ‘-오’가 아니라 두 문장을 연결해 주는 어미 ‘-이요’가 쓰인 것이므로 소리나는 대로 적습니다.
이렇게 명확한 규정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이오'와 '-이요'를 혼동하는 데에는 비격식체인 '해요체'의 영향이 큰 듯 보입니다. 우리말에는 격식체로 <아주높임(하십시오체):-습니다, -ㅂ시오, -ㅂ니까 / 예사높임(하오체):-오. -소 / 예사낮춤(하게체):-네, -게, -나 / 아주낮춤(해라체):-는다, -어라, -느냐>이 있고, 비격식체로 <높임(해요체):-요 / 낮춤(해체):-어, -지, -는가>가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사회가 현대사회로 접어들면서 서구화의 영향인지, 민주화의 반영인지 점점 '합쇼체(하십시오체)'와 '하오체'는 사라져가고 대신 반말인 '해체'와 그것의 높임형인 '해요체'가 넘쳐나고 있습니다. 일례로 예전에는 학교에서 남학생들은 선생님들께 "안녕하십니까?"라고 인사를 했는데, 요즘은 여학생들처럼 "안녕하세요?"라고 인사합니다.
"청자를 높이는 상대 높임법 가운데 해요체가 있습니다. 이 높임법은 합쇼체 즉 '-습니다'와 달리 격식적인 자리에서는 잘 쓰이지 않습니다. 일례로 군대에서 이 높임법이 금지의 대상이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곧 합쇼체는 격식적인 말인데 비해 해요체는 비격식적인 말로 분류됩니다. 그러나 대신 그만큼 인간적인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 쓰이므로 합쇼체보다는 친근감이 더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남자들보다는 여자들의 사용 빈도가 좀 더 높다는 점에서 여성적인 화법이라고도 할 만합니다. 이 높임법은 그동안 빠른 속도로 세력을 확장하였습니다. 그래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에게 복잡한 등급의 높임법을 어렵게 가르칠 것 없이 반말인 해체와 해요체만 가르치면 충분하다는 반 농담 섞인 이야기가 들릴 정도입니다."(창원대 허철구 교수)
이렇게 점점 세력을 확장하는 '해요체'로 인해, 격식체와 비격식체의 근간이 흔들릴 지경이고, 덩달아 '-이오'와 '-이요'의 쓰임까지 혼란스러워졌습니다.
질문: "‘-이오’와 ‘-이요’가 자꾸 헷갈립니다. 다음 중 어떤 것이 맞는지요?"
- 당신은 왜 그 야단이요? / 이오?
- 생각하면 불쌍한 아이들이 아니요? / 아니오?
답변: "'요'는 문장 끝에 붙어 쓰이는 특수한 조사입니다. 물론 어미로 쓰이는 '-요'도 있기는 하지만 이것은 절과 절을 이어주는 연결어미이고, 문장 끝에 올 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오'는 문장 끝에 올 수 있는 종결어미이므로, 어간이나 선어말어미 뒤에 쓰여야 합니다.
'당신은 왜 그 야단이요?'는 '이다'의 어간 '이-'에 조사 '요'가 붙은 것이 되므로 틀린 것입니다. 이때에는 어미인 '-오'가 쓰여야 하는 것입니다. 즉 '야단이오?'가 맞습니다. '생각하면 불쌍한 아이들이 아니요?' 역시 같은 이유로 '아니오?'가 맞습니다. 대답에 쓰이는 '아니요'는 '아니'라는 감탄사에 조사 '요'가 붙은 것이기 때문에 '아니요'가 맞습니다. '-오'는 어미이므로 감탄사 뒤에 쓰일 수 없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오'와 '요' 앞에 오는 말의 문법적 성분이 무엇인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국립국어원의 홈페이지에 올라온 한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입니다. 이제는 우리말에서는 서술격 조사 '이-' 다음에 보조사 '요'가 바로 결합한 형태인 '이요'는 종결형으로 쓸 수 없다는 사실을 아셨을 것입니다. 또한 '이것은 공책이요, 저것은 연필이요, 그것은 책입니다'와 같이 사물을 열거할 때에 쓰인 '이요'는 종결형이 아닌 연결형 어미로 쓴다는 사실도 아셨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보조사 '-요' 때문에 어렵다고요? 보조사 '-요'가 문장 끝에 올 경우에는 앞말이 문장을 끝맺는 종결어미로 끝나야 합니다. '나는 차가 없어요', '봄이 오니 새싹이 돋는군요', '어서 병원으로 가지요' 등이 그 예입니다.
물론 보조사 '요'도 체언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문장의 끝에 오지 않아야 합니다. 따라서 '철수요', '영희요'에 나오는 '요'는 '이오'의 준말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요'가 '-이오'로 줄어든 경우는, 일반적으로 묻는 말에 대한 대답이 아니라 앞에 언급한 내용에 대해 다시 확인을 하기 위한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후문으로 나가야 한다. 알았니?'라고 하는 말을 들은 경우에 '정문 말고 후문요?'라는 반응을 보이는 상황에서 쓰입니다. 또한 '지난해 몇 월에 제주도 갔지요? 10월요', '너 지금 어디 가니? 도서관요'처럼 체언의 받침 유무와 관계없이 보조사 '요'를 종결형에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