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부터 오늘 사이에 기부금을 좀 정리하였다.

기부금은 약 15년 정도 냈었는데, 최근 1년은 어머니와 함께 반반씩 부담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내가 무급휴직을 하면서 어머니만 계속 내고 있었다.

 (1) 국경없는 의사회

 (2) 세이브더칠드런

 (3) 충주 성심농아재활원

 

(2)의 행태가 문제가 되었다. 기부에 오래 참여하다 보니 기부단체의 운영실태까지도 보고 정보를 얻게 마련이다.

(2)는 1:1 결연을 표방하고는 있지만, 실제적으로 우리가 낸 돈이 1:1로 그 아이에게 가지는 않는다. 아이가 사는 마을을 지원한다. 공동체의 자립을 위한다는 거다. 또한 상대적으로 물가가 매우 싼 저개발도상국으로 가다 보니, 운영비가 기부금을 훨씬 넘어서는 기형적인 구조가 발생한다. 물론 단체에서 기부 방식을 그렇게 지정한 것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는 가지만, 1:1 결연이라는 이름을 빙자하여 마을지원금으로 준다는 것은 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부분이기도 하였다. 또한 실제로 그 마을로 가는 돈은, (물가가 엄청 싸니까) 우리가 낸 후원금에서 가는 돈이 얼마 안 된다는 정보를 입수하면서 그 신뢰도가 땅에 떨어지고 말았다.

 

(1)도 참 오래 했는데, 이제는 규모가 많이 커진 듯하여, 많이 지원해주지 않아도 될 듯한 판단이 섰다. 기존 7천원에서 1만원으로 증액하였다. 여기는 작년 회계보고서를 보니 운영비 40%, 구호비 60%의 비율을 맞춰서 운영하고 있었다. 운영비에 직원 월급은 빠졌고, 국내홍보비, 국내 후원단체 발굴비, 자원활동가(여기는 의료진만 지원 가능) 모집행사비 등으로 쓰여서 그럭저럭 용인할 만한 수준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3)은 천주교 청주교구에서 운영하는데, 사실상 좀 열악하다. 후원금도 적은 편이고. 내가 무급휴직하면서 1차로 중단한 데가 여긴데, 좀 많이 미안했다. 몇 년 전에 방문했었는데, 정말 빠듯하게 운영되고 있음이 잘 모르는 내가 봐도 확 드러나 보였다. 전에 책도 많이 보내주고, 물품도 보내주고(컴퓨터) 했었는데, 다시 시작해야겠다는 마음이 앞섰다. 작년 후원금 사용내역을 보니 적자였다.

 

모 커뮤니티에 기부금과 관련한 이러한 고민을 띄웠더니, 회원님들이 알려주신 곳이 있었다. 대상자에게 100% 돈이 가는 곳이 있다는 거였다.

디딤씨앗통장 http://www.adongcda.or.kr 

이거는 국가에서 운영하는 제도이다. 자립할 연령까지 후원금을 넣어주고, 그걸 국가에서 갖고 있다가 성인이 되는 시점에 아이에게 직접 주는 제도.

특이한 건 1+1이다. 후원자가 1만원을 내면, 국가(해당 지자체)에서 1만원을 보태 2만원을 적립해준다.

국가지원금은 최대 5만원까지 가능하다.

후원자가 1만원밖에 못 내서 적립금이 적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국가에서는 5만원을 채워주도록 중복결연을 시킨다. 그래서 후원금이 5만원이 되면, 여기에 지자체가 5만원을 보태서 10만원을 적립해준다.

 이후 대상 아이가 18세가 되면 대학등록금이나 직업훈련비 목적으로만 인출 가능하고

 24세가 되면 이유 불문하고 전액 인출이 가능하다.

결연 아이는 지정도 가능하고 비지정으로 하면 알아서 매칭시켜준다고 한다.

 

급식바우처는, 전에 직장에서 보니까 꼴불견이 참 많았다.

아이의 급식바우처를 부모가 편의점에 들고 와 담배도 사고 지 처먹을 것도 사고 하는 꼬라지를 너무나 많이 봐서 참 불합리한 제도라고 생각했는데, 디딤씨앗통장 제도는, 부모가 친권자랍시고 돈을 빼먹는 거를 방지하고, 오로지 아이의 독립, 정착지원금으로 쓰게 만들어진 시스템이다.

좋은 제도라 생각하여 개별신청할까 하다가, 후원기관에 연락했더니, 직접입금방식으로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오늘 중으로 연락주겠다고 하신다.

 

그래서 정리하였다.

[기존] 내 돈 15,000원 + 어머니 돈 22,000원

[변경] 내 돈 18,000원 + 어머니 돈 22,000원

→ 국경없는 의사회 10,000원

    성심농아재활원 20,000원

    성심농아재활원 10,000원(디딤씨앗통장)

 

기부는... 솔직히 말하면 '중독'이다. 하다가 끊으면 그렇게 찝찝할 수가 없다.

그런데 잘 선택해서 해야 한다. 기부금의 用處를. 아무리 좋다 하더라도 본인이 의심스러우면 끊는 게 맞다고, 어느 인권단체 직원분이 말씀하셨다.

좋은 거긴 한데 선택을 잘 해야 한다.

 

최근에는 마스크를 기부했다.

우리집은 다 기저질환자라서 여전히 KF80과 KF94를 선호한다. 대환란기 때에 비축해 놓은 KF-AD, 보건마스크가 좀 많아서 두 차례에 걸쳐 성심농아재활원에 보내드렸다.

지난 주에 47장, 오늘 70장.

 

기분은 좋다.

주말에 혼자 캔맥주 까는 것보다 기분이 좋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돼지탈출 1일차  (0) 2021.07.20
다시 시작  (0) 2021.07.19
하나Smart Any카드 불편,이상한 점 2가지  (0) 2021.06.07
FF9 관람 후기  (0) 2021.05.23
제주일주일살기 기본비용 정산  (2) 2021.05.05

생일도 다가오고...

작년 생일 때에 진짜 사고 싶은 게 없어서 했던 건데,

 

올해 생일 다가와서, 그냥 스르륵 결제해 버렸다.

뭐, 물론 생일선물(?)도 샀다.ㅋㅋㅋㅋㅋ

 

생일선물은....

이거하고... 저거다.

 

이거는 차량용 습윤식 에어필터인 크린필터다.

유니필터 쓰고 있는데, 마침 리필킷도 다 썼고 해서, 유니필터 두 겹 갈기 싫어서 한 겹에 엠보싱 처리된 크린필터를 사 봤다.

엔진오일 합성유에 습윤식 필터면 꽤 좋은 조합이다. 연비도, 힘도 다 잡는다. 물론 연비에서 가장 중요한 건 페달질이지만..ㅎㅎ

 

 

저거는... 애프터샥 스포츠티타늄 골전도이어폰이다.ㅋㅋ 한번 써 보고 싶었다. 원래 블루투스를 선호하지 않아서 일부러 유선으로 샀다.

 

기부할 수 있는 곳

< 돈(1만원 이상) >
개인적 관점에서 알아본 바에 의하면, 기독교 관련 단체들은 기부가 우선이 아니라 기독교 복음 전파가 목적이기 때문에 종교에 심취한 분이 아닌 이상은 거부감이 들 수 있음.
http://afterdan.kr/archives/118 요 포스팅을 읽어보시기 바람. 그래서 월드비전은 비추천.
반면, 가톨릭 관련 단체들은 그런대로 봉사의 취지에 충실하게 활동하고 있고, 비교적 재정 상태가 투명하게 운영되고 있음.
개인적으로 관심이 있어서 찾아봤으나 아직 경제적 여력이 부족해 하지 못하고 있는 곳이 대부분임.

성심농아재활원
충북 충주시 소재
가톨릭 법인에서 운영하는 농아 재활원
영화 '글러브'의 실제 모델이 되는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이 재활을 위해 사는 곳
http://www.sungsim4u.or.kr
개인적으로 지인이 근무하고 있어 인연이 되어 2006년부터 월 1만원씩 후원하고 있음.

꽃동네
충북 음성군 소재
가톨릭 법인에서 운영하는 국내 최대의 재활시설이라고 봐도 무방.
http://www.kkot.or.kr
1991년에 돌아가신 친할머니께서 가톨릭에 귀의하신 이후부터 후원하던 곳이라 (좀 늦었지만) 그 뜻을 이어받아 2011년부터 월 1만원씩 후원하고 있음.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종교 무관. 순수 지원단체
http://www.unicef.or.kr
이미 다 아실 듯.

플랜코리아(플랜인터내셔날 한국위원회)
종교 무관. 순수 지원단체
한국전쟁 당시 우리나라 전쟁고아들을 많이 도와줬음.
개발도상국을 지원할 수도 있으며, 월 3만원으로 개발도상국 아이들을 1대 1로 후원할 수도 있음.
http://www.plankorea.or.kr

요셉의원
서울 영등포구 소재
영등포 쪽방촌 독거노인들이나 노숙인들을 돕는 병원
가톨릭 법인에서 운영
http://www.josephclinic.org
관련기사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002190100008&ctcd=C02 참조

수단어린이장학회
기독교인, 가톨릭인, 비종교인 모두 감동적이었던 영화 '울지마 톤즈'의 주인공이신 故 이태석 신부의 뜻을 기리기 위한 장학회
외교통상부에 등록되어 있으며, 이태석 신부가 활동하던 아프키라 수단의 톤즈라는 곳의 아이들을 돕기 위한 장학단체
가톨릭 법인에서 운영
http://frjohnleewithus.com (현재 공사중)
http://cafe.naver.com/WithLeeTaeSuk 참조

한국동물복지협회 자유연대
서울 성동구 소재
연예인 이효리 씨가 유기견 사랑에 앞장서면서 유명해졌음.
http://www.animals.or.kr

국경없는 의사회 한국

국제 민간의료단체. 자세한 내용은 누리집이나,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91754&mobile&categoryId=200001614 참조

http://www.msf.or.kr

< 집에서 몸으로 때울 수 있는 것 >
봉사활동이라고 기관에 가서 대충 몸으로 때우고, 미숙하게 해서 그 사람들 불편하게 하느니, 가진 재능 가지고 편하게 집에서 할 수 있는 것들이 있다.

1. 워드
점자도서 제작을 위한 기본 텍스트를 워드로 입력하는 것.
텍스트(.txt)나 한글(.hwp) 파일 입력이 된다.
전국 점자도서관을 검색 포털에서 검색하여 간단한 교육(입력규칙이 있음)을 받고 점자도서관 지시에 따라 하면 됨.
개인적으로 2006년부터 하고 있음.
부천점자도서관 http://www.pcl.or.kr (현재 이곳은 도서량이 너무 많아 신청을 받지 않음)
그래서 옮긴 곳이 대전점자도서관 http://town.cyworld.com/djbraille 2011년부터 여기서 하고 있음.

2. 컴퓨터 유휴메모리 활용
컴퓨터가 돌아가는 데 있어 놀고 있는 메모리는 분명 있다.
MS-DOS 시절에는 그 치사한... 640KB에 목을 매고 활용에 목숨걸었으나, 윈도 OS로 넘어오면서부터는 그럴 필요가 없어졌다. 윈도7이 되면서 고성능 게임이나 고사양 프로그램을 구동하지 않는 한 메모리가 많이 필요없게 됐다. 그 놀고있는 메모리를 다 활용하자.
분산컴퓨팅 방식으로 학술연구에 내 메모리와 내 CPU 자원을 기부하는 것이다.
미국 버클리대학에서 시작한 외계지적생명체탐색(SETI) 프로젝트에서 시작한 BOINC가 바로 그것이다.
나는 현재 SETI와 World Grid Community(WGC, 신약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SETI는 2001년부터 참여하고 있고, WGC는 2011년 중반부터 참여하고 있다.)
SETI와 BOINC에 대해서는 검색포털에서 찾아보면 많은 자료가 나올 것이다.
BOINC http://boinc.berkeley.edu
참여방법 http://cafe.naver.com/setikah 참조 (가장 잘 정리되어 있음)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유선망으로.ㅎㅎ  (0) 2012.02.24
'우아한 거짓말' 중에서(2)  (0) 2012.02.12
'우아한 거짓말' 중에서  (0) 2012.01.23
미친듯이 프로젝트  (0) 2012.01.18
Metallica - 30th Anniversary celebration gigs  (0) 2012.01.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