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가계부를 쓰기 시작한 것은 초등학교 때이다. 벌써 20여 년의 세월이 흘렀다.

학교에서 나눠준 용돈기입장을 꼬박꼬박 적은 것이 계기가 되어 당시에 교육감상도 받았다. 내 돈 내가 관리하는데 교육감이 상을 준다? 지금 생각하면 조금 이해가 안 가기도 한다.

이후 대학에 진학하면서 나는 지방에서 용돈을 받아 가며 기숙사생활을 했다.

이때도 다른 녀석들처럼 흥청망청 돈을 쓰기 싫어 아꼈고, 아끼다 보니 수기로 가계부를 적었다.

부모님께 매달 받는 용돈을 쪼개 적금에 들었고, 대학 4학년 때에 만기금 40여 만원을 손에 쥐고 기뻐했던 기억이 있다.

대학원 재학 중에 취업하면서 돈을 아끼고 아껴 이미 주택청약예금을 일시불로 들었던 것도 기억에 남아 있다.(지역만 옮겼을 뿐 아직도 건재하다)

 

이후 백수생활 좀 하다가 2006년 8월에 취업을 하면서 직장동료로부터 들은 사이트...

'모네타'가 내 가계부 작성의 시작이었다.

모네타 미가파티 게시판에 언제부터인가 가계부 정산글을 띄우기 시작했고,

작년 12월까지 총 84회차를 찍었다.

가계부를 본격적으로 쓴 게 약 13년, 정산을 시작한 것은 7년이다.

 

그동안 모네타에는 많은 일이 일어났고, 최고의 재테크사이트라는 명성이 점차 가라앉기 시작하면서 쇠락의 길로 빠져들었다.

지금은 팍스넷이라는 증권전문 사이트가 매입하면서 모네타 미니가계부는 완전히 쇠락해버린 동네가 되었다.

내가 정산글을 띄우는 싱글파티 게시판에 내 정산글만 올라온 지도 근 1년이 되었다.

나만 가계부를 정산하고, 나만 평가하고, 나만 본다.

나머지는 뻘글.

뻘글이 올라오는 이유는, 팍스넷이 회원들의 문의에 적극적인 응대를 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다가 없어지는 것 아닌가 싶기도 하다.

 

단식가계부로서는 모네타가 최강이다.

최근 들어 모네타에서 위기감을 느껴 네이버 가계부를 병행하고 있고,(네이버도 단식부기) 내 나름대로 완전 단순 수기입력 가계부 엑셀파일을 쓴 지 벌써 3년이 되어 간다. 1년에 파일 한 개씩 생겨나니 나름 뿌듯함도 느낀다.

복식부기 가계부도 써 봤는데(온블러), 단식부기에 예금자산을 별도로 관리한 지 15년 가까이 된 나로서는 적응하기 매우 힘들었다. 그래서 두어 달 쓰고 포기.

 

정산은 계속 할 건데, 이제 더 이상 모네타에 올리고 싶지 않다.

내 글만 올라오는 게 싫다. 나도 다른 회원의 정산글을 보고 싶다.

85번째 가계부 정산부터는 내 블로그에 올리려고 한다.

모네타 미니가계부(http://mini.moneta.co.kr) 절약게시판에서 전국 최저가 인터넷서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아임리얼'(http://www.imreal.co.kr)

Yes24에서 구매대행을 한다.

이건 정말... 주문하는데 정말 놀랄만한, 매우 저렴한 가격에 책을 살 수 있었다.

어떻게 이렇게 해서 돈을 벌 수 있는지는 모르겠다.

(개인적인 추측이지만... 처음엔 좀 밑지는 장사를 하다가 플래티넘 회원등급으로 올라가면서 할인받아 판매해주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함...ㅎㅎ 아니면 애초부터 플래티넘 회원등급을 가지고 있어서 그런 건가 싶기도 함. 입금계좌가 개인 명의라서 그런 생각을 해 봄.)

 

사실, 카드결제는 뭔가 안전망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거리낌없이 카드결제를 하는데, 아임리얼은 현금결제만 가능하다는 게 조금 껄끄러웠다.(불안감. 세상이 하도 험해서.. 돈 들고 튈(?)까봐-_-;;) 하지만 카드결제를 하면 업체에서 수수료 부담이 크거든. 그런 점을 깨버린 것이다.(사이트에도 그렇게 나와 있음!!) 현금영수증 처리를 해 주니 내가 쓴 돈에 대해서 뭔가 돌려받는 느낌은 든다.ㅋ

 

하여튼 의심을 다소 갖고 책을 주문했다. 일부러 한 건 아니고, 읽고 싶은 책이 있어서 주문했다.ㅋㅋ

 

책이름 

정가 

인터넷교보문고 

인터넷교보문고

+신한카드 올댓쇼핑 3%할인 

 아임리얼

 넥스트 머니 비트코인

 16,000

 14,400

 13,968

 12,300

 면역혁명(문고판)

 6,500

 5,850

 5,675

 3,100

 계

 22,500

 20,250

 19,643

 15,400

 

놀랍지 않은가?

인터넷교보문고 할인율 10%

인터넷교보문고+신한카드 올댓쇼핑 할인율 13%

아임리얼 할인율 31.5%

 

내가 지금 교보문고 플래티넘 회원이긴 한데... 회원 혜택 딱히 뭐 받는 것도 없고...

대학 때부터 20년 가까이 교보를 써 왔는데... 돈 절약때매 버릴 듯하다.

카드실적 때문에 신한카드 올댓쇼핑 많이 써 왔는데... 돈 절약 때문에 버릴 듯하다.ㅋㅋ

 

아참, 결제 후 주문완료까지 시간도 엄청 빠르다.

5분 뒤에 주문글 확인 했는데 벌써 주문 완료에, 현금영수증 처리 완료란다.

강력추천한다.ㅎㅎ

 

[내용추가:12/4]

오늘 회사에서 직장동료들에게 아임리얼을 추천했더니, '넌 사기당한 거야'라는 말이 지배적이었다.

카드결제 안되고 현금결제 되는 것하며, 사이트 구조가 너무 허술하다고.

근데, 집에 와보니 책이 벌써 와 있다!!

Yes24 포장에 새 책이다. 오오... 대단하다.

난 오늘부로 인터넷 교보문고에서 아임리얼로 넘어간다.ㅎㅎ

며칠 전, 수 년간 사용중인 모네타 가계부에 돈 쓴 내역을 입력하려고 들어갔다가 공지를 보니 '모네타 차계부'가 만들어졌다고 했다. 

그때는 일이 바쁜지라 그날 지출내역만 가계부에 적고 나왔고, 오늘 좀 한가하여 자료를 입력하려고 들어갔다.

(http://mini.moneta.co.kr)

 

사실, 나는 차계부 쓴 지도 꽤 됐다.

두 번째 차인 비스토를 탈 때 중간쯤부터 썼으니까... 한 7-8년 정도 쓴 것 같다.

그때는 천넷(http://1000cc.net)의 동호회원 중 프로그래머이자 개발자였던 분이 동호회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직접 웹호스팅 비용을 대고 차계부 프로그램을 구축했었다. http://carmt.net 이라는 도메인을 사용했었는데, 지금은 서버도 없어지고 내용도 없다.

지금까지 써 본 중에 최강 차계부는 이것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다가 기아큐멤버스(http://q.kia.co.kr)에서도 기아차 차주들을 위한 커뮤니티를 개설하면서 차계부를 만들어 넣었다.

carmt보다는 조금 불편하지만 그래도 인터페이스가 괜찮았다.

차량 유지비와 차량 유지 상태 둘 다를 중요시했기 때문이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주유할인카드 사용금액은 별도로 합산이 안 된다는 점, 정비내역이나 커스터마이징 내역이 길어지면 글자수 제한이 생긴다는 점 등이 있었지만 그래도 나름 최강이었다.

 

근데 며칠 전에 모네타 차계부가 나왔다 하여, 모네타 가계부의 직관적 인터페이스를 믿고 들어가서 우리 쏘울이의 1년치 차계부를 입력하는데, 불편한 게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차계부 제작이 너무 미숙하다. 개선이 많이 요구된다.

 
차계부 개설됐다는 공지글에 내가 댓글로 제안한 내용이다. 글자수 1천자 제한이 있어 3개의 댓글로 나눴다.
 
댓글1.
15년 가까이 운전하면서 여러 차계부 사이트 사용해 봤습니다. 기아 큐멤버스 q.kia.co.kr 에 있는 곳을 주로 이용중인데요, 아쉬운점..(건의) 요즘에 주유할인카드 쓰는 사람이 대부분인데요, 주유시 결제금액과 실결제금액이 달라요. 주유시 결제금액만 합산이 된다면 잘못된 금액통계가 나옵니다. 실결제금액도 같이 입력할 수 있는 공간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주유금액... 그 날짜에 리터당 얼마였는지, 몇 리터를 넣었는지도 입력하는 공간이 있어야 실질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댓글2
또한, 다른 사이트에서 정리한 자료를 작년분부터 입력중인데, 누적주행거리 부분.. 주유비 따로 입력하고, 누적주행거리 따로 입력하는 건 매우 번거롭습니다. 주유 부분 입력할 때에, 단가(리터당 금액), 주유량(L), 주유시 결제금액, 실결제금액(할인카드나 상품권 사용시), 결제금액당 주행거리, 누적주행거리를 한꺼번에 입력해야 금전관리 뿐만 아니라 실제 차량 관리까지 할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지금의 모네타 차계부 입력방식은 아직 보완할 면이 많으네요.

 
댓글3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차계부는 유지비(돈)+차량 상태 유지의 두 가지 기능에 모두 충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모네타 차계부는 모네타 가계부와 연동하여 차량유지를 위한 "돈" 씀씀이에 대한 부분에 치중해 있지 차량 상태 유지를 위한 자료 누적 배려는 조금 부족한 듯 싶습니다. 가계부의 완성도에 비하면 차계부 완성도는 많이 떨어진다 생각합니다. 개선을 기대해 봅니다.
 
모네타 가계부의 명성에 먹칠하지 않으려면 많이 개선되어야 할 듯.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