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서 글을 올립니다.
다름이 아니고 햄통신이랑 CB생활무선이 있던데 차이점이 무엇인지 모르겠어요.
어떻게 틀린건지.
햄자격증이 있는데 어떤걸 하는 것이 좋은 것인지 모르겠네요.
구체적으로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두 개 다 하고 싶기도 한데 사람들이 이왕 하는 것, 햄통신을 하라고 하더라고요.
햄통신을 많이들 하는지 생활무선을 많이 하는지도 궁금하고요.
생활무선은 출력이 얼마 안 된다고 하더라고요. 두 개를 다 운영하는 것이 좋은건지, 저는 여기저기 움직이는 일을 많이 해서 말입니다.
생활무선은 자격증이 없어도 된다고 하더라고요.
이해하기 쉽게 구체적으로 답변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어떤 것이 운용하기 쉬운지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햄통신을 하게 되면 집에서 운용하는 것과 차에서 하는 것이 다른 장비인지 아니면 한 개로 둘 다 가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처음 입문하는 것이라 너무 궁금합니다. 여러분들의 답변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요.
[답변]
Re:궁금 합니다
날짜 : 2005.11.07 16:48
CB는 생활무선국이라고도 하며, Citizen Band의 약자입니다.
CB는 27MHz 주파수를 사용하며 사용출력은 3W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CB는 자격증도 필요없고 별도의 허가도 필요 없으며 시중에 나와 있는 27MHz 기기와 안테나를 구입하시고 장착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콜사인도 내 마음대로 아무 것이나 만들어서 쓰면 됩니다.
HAM은 자격증을 취득하셨으니 아실 것입니다. 3급 전화급은 출력제한 50W 이내에서 무전기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3급 전화급으로 사용 가능한 주파수는 144, 430, 3.5, 7, 21, 24, 28, 29, 50MHz 정도가 있죠. 물론 지원되는 기기를 사고 정보통신부(관할 체신청)에 무선국 개설신청을 하여 호출부호를 부여받은 다음부터 교신할 수 있습니다.
저도 개인적인 경험에 비추어 추천드리자면 HAM을 하시라고 말씀드리겠습니다.
HAM 하나 가지고도 엄청 무궁무진하고 감당하기에 벅찹니다.
사용 인구는 CB 무선국이 많습니다만 실제 열심히 활동하시는 분들은 HAM이 더 많다고 조심스럽게 제 의견을 제시합니다.
CB는 기계만 사면 그만이니까 전국에서 정확히 몇 명이나 활동을 하는지 알 수는 없습니다. 대부분 차량동호회에서 그룹드라이빙용으로 이용하는데요, 그네들은 "오로지" 그룹드라이빙에만 사용하더군요. 그 외에는 OFF~가 대부분이더군요.
물론 열심히 교신하시는 분은 열심히 하십니다만, 저도 두 개 다 달고 있을 때 똑같은 시간을 교신해 보아도 HAM이 더 많이 교신되더군요.(예전에 살던 모 市에서.. CB를 달고 열심히 CQ를 내었는데 2년간 10국 정도 교신.. / HAM 144MHz를 달고 열심히 CQ를 내었는데 1년간 600국 교신)
어떤 것이 운용하기 쉽냐는 질문에는 둘다 똑같다고 말씀드립니다.
CB의 용어가 전부 HAM의 그것을 차용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HAM장비의 경우, 집에서 운용하는 것과 차에서 운용하는 것이 같은 장비일 수도 있고 다른 장비일 수도 있습니다.
시중에 팔리는 햄장비 중에는 차량용도 있고 베이스장비(집에서 쓰는 것)도 있고 합니다. 그렇지만, 차량용을 고정국용(집에서 쓰는 것)으로 허가내면 되는 것이니까 별 의미는 없습니다.
한 개로 차량국, 고정국 다 허가낼 수는 있으나 차에서 교신하다 케이블 풀고, 파워케이블 빼고 집으로 갖고들어가서 파워서플라이 연결하고, 안테나 연결하고.. 이렇게 하시기는 매우 번거로우실 것입니다.
교신행태에 대해서는 여러 다른 회원님들이 답변주시겠지만 저의 경우를 말씀드리면, 총 세 대의 장비를 가지고 차에는 VHF(144MHz) 모노밴드 장비만 달고 운용을 하며 집에는 차량용 VHF(144MHz) 모노밴드 장비 한 대를 고정국용으로 허가받고, 단파(HF)장비를 설치하여 운용을 합니다.
차량운행을 자주 하신다면 VHF 모노밴드 장비 정도가 괜찮지 않을까 합니다.
뭐.. 두서없이 말씀드렸습니다.
재정리하자면,
그냥 HAM만 하세요. HAM 하나로도 벅찹니다.
사용자의 많고 적음을 떠나 본인의 교신의지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3.
우편접수시 '사진 1매 동봉'이라고 되어 있는데요, 원서에 붙이셨다면 그걸로 된 것입니다.
'사진 1매 동봉'이라길래 원서에 붙인 것 말고 또 한 장을 넣어야 되나 싶어서 무선관리단에 물어봤습니다.
단, 이번 회 필기시험 보신 분은 해당사항 없습니다. 무선관리단에서 필기시험 합격자분들 중 실기 접수하는 분들의 기존 원서만 따로 추린다고 합니다.
4.
원서를 보낼 때 우표 붙여서 반신용 봉투를 필히 넣으셔야 합니다. '받는 이'란에는 나의 주소를 적어야겠죠.
빠른우편 우표는 장당 310원이고요, 일반우편 우표는 장당 220원입니다.(저는 빠른우편 우표를 붙였습니다.)
등기발송은 인터넷 우체국 홈페이지 http://www.epost.go.kr 에서 배송상태가 실시간으로 조회됩니다만, 일반우편 발송의 경우 배송상태가 조회되지 않는 관계로 원서접수 마지막 날 관할 무선관리단에 전화해서 원서가 도착되고 접수되었는지 꼭 확인하라는 무선관리단 측의 부탁말씀이 있었습니다.
5.
당일 시험장에 본인의 전건(key)을 가지고 가셔서 시험에 응시하셔도 됩니다.
먼저 시험보신 DS1QKI님에게서도 들었고 무선관리단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하였습니다.
1.필요주파수 대역폭
0.001Hz~999Hz 사이의 Hz : H
1.00kHz~999kHz 사이의 kHz : k
1.00MHz~999MHz 사이의 MHz : M
1.00GHz~999GHz 사이의 GHz : G
2.기본 특성
(1) 첫째 기호 : 주반송파의 전송방식
0. 양측파대 : A
0. 단측파대의 전반송파 : H
0. 단측파대의 저감. 가변레벨반송파 : R
0. 단측파대의 억압반송파 : J
0. 주파수변조 : F
0. 위상변조 : G
(2) 둘째 기호 : 주반송파를 변조시키는 신호의 특성
0. 무변조신호 : 0
0. 변조용 부반송파(시분할 다중방식은 제외)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퀀타이즈 또는 디지털 정보를 포함하는 단일 채널 : 1
0. 변조용 부반송파를 사용한 퀀타이즈 또는 디지털 정보를 포함하는 단일 채널 : 2
0. 아날로그 정보를 포함하는 단일 채널 : 3
(3) 셋째 기호 : 송신할 정보의 형태
0. 전신 : 가청수신용 : A
0. 전신 : 자동수신용 : B
0. 팩시밀리 : C
0. 전화(음성방송을 포함) : E
0. SSTV : F
3.추가적 특성
(4) 넷째 기호 : 신호의 항목 : -
(5) 다섯째 기호 : 다중화 특성 : -
memmaker님
바보온달님
roi님
은빛늑대님
hogual님
멋진언니님
예스터데이님
해보기님
그리고 욕으로 글 시작하셨다가 삭제당하신 분께.
고맙습니다.
현재 저의 상황은 매우 절박합니다.
매일 쌓이는 스트레스. 나 자신과의 타이틀매치.
머리털 나고 30여년 만에 처음으로 죽음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해 보았습니다.
더 열어놓았다가는 욕이고 뭐고 난무할 것 같아서 싱크를 비공개로 돌렸습니다.
세상에는 여러 부류의 사람이 살고 있다고 합니다. 그만큼 여러 상황이 있습니다. 남이 아무리 절박한 상황에 있을지언정 자신의 상황보다는 절박하지 않죠.
자신의 고민에 있어서는 범세계적, 범애적으로 생각할 수 없는 것이 우리 인간이 아닌가 합니다. 다른 세계를 생각해보라는 충고는 정중히 사양하겠습니다.
방금 전에 유서를 썼습니다.
오히려 유서를 쓰고 나니 마음 속이 후련해짐을 느꼈습니다.
하루 종일 멍했던 기분, 아직까지 여전합니다.
절망적인 기분에서 아직까지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습니다만.(며칠 더 가겠죠.)
성도 이름도 모르는 여러 누리꾼들의 진심어린 충고.
잘 받아들이겠습니다. 그것들을 토대로 저의 마음을 돌려 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잘 될 지는 모르겠지만요.
안녕하세요..개국하려는 초보입니다..
질문이 있어서요. 간혹 주파수를 푼다는데, 무전기를 분해해서 일종의 장치를 하는 것인지 아니면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하는 것인지요?
물론 법에 저촉되는 것도 압니다만. 그리고 업무용 무전기 주파수 대가 햄과 같은것 같던데요.. 같이 쓰나요. 타주파수 수신도 법에 저촉되나요? 수신은 상관없는 것 같아서요.
[나의 답변]
날짜 : 2005.10.29. 02:44
수신만 하는 것은 불법이 아닙니다만 주파수를 푸는 행위는 (대부분)무전기를 분해해서 회로를 조작하는 것으로서 불법입니다. / 업무용 무전기 주파수대역은 아마추어무선 주파수대역과 다릅니다.
업무용무전기 주파수범위는 보통 134-174MHz, 400-470MHz입니다만 전부 쓰는 것이 아니고 허가를 받을 때 특정 주파수를 지정해 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주파수표는 카페 자료실 278번 글을 참고하세요.
---------------------
남의 주파수에 신경쓰지 말고 자기에게 할당된 주파수에서 열심히 교신하세요.
커뮤니티의 애경사알림 메뉴에 대해서 아시는 분은 글 좀 올려주세요.
경조사를 애경사로 표현한 것이 아닌가 하는 오엠님 말씀이 맞는 것인지 아니면 다른 뜻이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작성자 : DS2WGV (2005-10-24 10:58:02)
방금 전에 국립국어원과 통화하였습니다.
'애경사'와 '경조사'에 대해 문의한 결과입니다.
일단, 국립국어원은 '표준국어대사전'을 기반으로 하여 답변합니다. 현재 나와 있는 국어사전 중 가장 방대한 자료와 예문을 갖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여기서 말씀드리는 '사전'은 표준국어대사전입니다.
['경조사'가 사전에 등록되어 있으므로 '경조사'를 써야 함이 마땅하나, '애경사'를 써도 무방하다.]고 답변을 받았습니다.
그 이유는, '哀慶'이라는 한자어가 사전에 올라 있고, 뒤에 '事'를 붙여 문법적 또는 내용상 의미가 어긋나지 않으며 사회적 통념상 기존에 사전에 올라 있는 '경조사'와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으므로 '경조사'를 대체하여 쓸 수 있다고 합니다. 한자어의 경우 학술전문용어에서 이러한 식의 합성 사례가 많이 발견되고 있으므로 사회적 통념상 어색하지 않거나 뜻이 변형되지 않으면 써도 괜찮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