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LTE 무제한 요금제 기본요금이 7,900원?
눈 크게 뜨고 잘 안 보면 바로 코 베임.
내가 초저가 폰요금제에 관심이 많아 알뜰폰 요금제 프로모션을 눈여겨 보는데,
이거... 사실은 사실인데 장난치는 것임.

자, 이게 그 문제의 요금제다.

 

KT자회사인 ktM모바일의 '모두다 맘껏 안심+'요금제다.
기본요금 20,900원짜리를 프로모션가 7,900원 요금제로 판매.

 

꼼꼼히 뜯어보자.

집/이동전화 무제한(단, 15XX, 16XX 등의 콜센터통화는 30분무료로 제한), 문자 무제한은 원래도 이만한 가격대의 알뜰폰 요금제에 있었다. 나도 몇 번 써 봤거든. 비슷한 가격대에서.

 

문제는 데이터다.
데이터 부분을 잘 보자.
0GB+400kbps??
해석 : 기본제공 0GB에 추가사용시 속도가 400kbps로 제한된다.

 

즉, 얘는 400kbps 속도의 데이터를 무제한 제공하는 거다.

400kbps가 어느 정도의 속도냐면, 문자 위주의 메신저, 지도앱, 이미지가 없는 웹사이트를 이용하면 편안한 속도다.(=0.4Mbps)

스마트폰 LTE요금제의 일반 속도는 150Mbps가 규격이고, 보통 100~130Mbps가 평균치다. 안 나와도 60Mbps이다.

즉, 이 요금제는 말이 무제한이지, 이거로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나, 게임, 이미지 많은 쇼핑사이트 검색 등을 이용하면 속 터질걸~.
속도 설명은 https://m.blog.naver.com/meyouhappy/221959415213 여기 잘 되어 있으니 참고.

그리고 LTE 무제한 제공한다고 KT Wi-Fi망을 못 쓰게 막아놨음. '별매'래.ㅋㅋㅋㅋㅋㅋ
이거는 꼼수다.

사용자 상대로 장난치는 거지.

ㅎㅎ

현재 월 6,600원짜리 요금제를 사용중입니다.

밖에서 데이터를 많이 쓰는 것도 아니고, 집이나 회사에서는 Wi-Fi만 쓰거든요.

밖에 나가면 데이터는...? 꺼 버립니다.ㅋㅋㅋㅋㅋ 이게 습관이 되어서 고칠 수가 없습니다.ㅎㅎ

 

ktM모바일 프로모션 기간 중에 셀프개통한 지 1년 조금 넘었습니다.

실용유심 1.9 요금제를 쓰고 있습니다. 원래 요금은 19,800원인데 알뜰폰은 연중 상시 프로모션중이라, 시기만 잘 찾으면 싸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이 상품은 월 7,700원에 판매중이더군요.

(200분, 200통, 2GB에 월 6,600원)

 

그런데, 더 아끼고 살아야 하는 상황이 닥쳐서... 이 수준에서 최저가 요금을 찾아보았습니다.

 

현재 제 사용수준은 이렇습니다.(최근 5개월)

 

06월 : 13분 39초 / 119통 / 207.19MB
07월 : 57분 08초 / 132통 / 220.18MB
08월 : 73분 10초 / 130통 / 228.38MB
09월 : 90분 31초 / 126통 / 188.96MB
10월 28일 현재까지 : 24분 01초 / 103통 / 385.4MB

 

이것에 필적할(?) 만한 요금제는, 두세 가지가 나오더군요.

1) 프리텔레콤(Free T) LTE28.6 요금제(LGU+망) 250분, 250통, 2.5GB : 월 5,500원

2) 프리텔레콤(Free T) LTE13.2 요금제(SKT망) 200분, 200통, 1.5GB : 월 5,500원

3) 스마텔 스마일플러스 250분+500MB(SKT망) 250분, 250통, 500MB : 월 5,500원

 

처음에 1)로 가려고 했으나... LGU+는 부가서비스가 매우 부실하더군요.

주변에 LGU+망 LGU+와 알뜰폰을 쓰는 지인을 우연히 만나게 되어 물어봤더니, 스팸필터링이 다소 부족하다고 하더군요. 두 분 다 다른 통신사에서 번호이동한 건데, 없던 스팸이 많이 늘었다고 하고, 한 분은, 밖에서 데이터로 인터넷을 할 때에 종종 통화권 이탈이 뜬다고 하네요. 그러면서 번호이동을 추천하지 않겠다고 하셔서... 일단 보류했습니다.

 

그래서 잠깐, 3社의 무료부가서비스 중 스팸필터링만 비교해봤더니, 이만큼의 차이가 있더군요.

 

LGU+ 알뜰폰 스팸차단 관련 무료부가서비스
1. 스팸차단(통신망 자체 서비스)
2. 060발신차단
3. 번호도용문자차단

KT알뜰폰 스팸차단 관련 무료부가서비스
1. 스팸차단(통신망 자체 서비스)
2. 060발신차단
3. 번호도용문자차단
4. 익명호수신거부
5. 정보제공사업자번호차단

 

SKT알뜰폰 스팸차단 관련 무료부가서비스

1. 스팸필터링(통신망 자체 서비스)
2. 060스팸 ARS차단

3. 번호도용문자차단
4. 익명호수신거부
5. 스팸ARS차단플러스

 

---------------

그래서 그 다음에 3)을 선택했는데, 데이터가 좀 아쉽습니다.ㅠㅠ

그러던 중 프리텔레콤에 SKT망도 있어 확인해 보니, 비교적 준수한 2) 요금제가 나오네요.

어차피 제 사용패턴에서 데이터가 오버될 일은 없습니다. 위의 최근 5개월 사용패턴을 봐도 그렇고, 지금까지 스마트폰을 이용해 오면서 월 최대 데이터사용량은 약 500MB였습니다.ㅎㅎ

 

이번엔 2)로 갈까 하고 계산해 보았습니다.

 

현재 요금제랑 2)의 차이점은, 데이터 용량 차이뿐인데요.

6,600원 : 2GB = 5,500원 : X

이런 비교식이 성립되겠네요.

계산 결과,

X=1.66.... 즉, 5,500원으로 요금이 내려앉으면 데이터는 1.66GB 정도를 주어야 제 마음에 가격대비 적절한 요금제라 판단이 됩니다.

 

그래서, 일단 보류.

조금 아쉽군요.

 

향후에 몇 개월 더 써 보다가, 정말 초절약 모드로 가야겠다고 생각한다면, 3)이 더 낫겠네요. 절약정신도 키우고.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번호이동 완료(副題: 左衝右突)  (0) 2021.01.05
무실적 할인카드 비교  (0) 2020.11.09
온라인서점 북클럽 17일 이용후기  (2) 2020.09.19
국민연금 추가납입 신청했습니다.  (2) 2020.09.07
영화 '반도' 후기  (0) 2020.09.06

절약모드 가기

이제 절약모드로 살아야 한다. 예전의 방식으로 살다가는 정말 힘든 老後를 맞이하게 된다.

 

1. 그래서 휴대전화 요금을 변경했다.

  헬로모바일 <착한 페이백 데이터 유심 2기가> 기본료 35,900원 요금제로 매달 15,500원 정도 냈다.

    통화 무제한, 문자 무제한(日 600통 제한), 데이터 2GB 조건에 남는 데이터는 1MB=10원으로 환산하여 當月 요금에서 차감. 안 쓰면 모조리 차감.

  이제 일이 바뀌고 하여 통화시간이 급감했다. 인터넷은 Wi-Fi만 써서 저번 달 데이터 사용량이 0이다. 그래서 더 싼 걸로 변경신청을 했다.

  KTm모바일 <실용유심 1.9> 요금제로 번호이동 변경신청을 했다.

  KTm모바일은 이벤트를 많이 해서 종종 쓸만한 요금제가 나온다. 이번에도 여지없이, 고민하던 차에 이벤트가 강화되었다. 知人도 나의 영향으로 오늘 알뜰폰의 이 요금제로 넘어갔다. 어차피 아껴써야 하기에, 조금 주저하다가 번호이동 신청을 했다.

  통화 200분 무료, 문자 200통 무료, 데이터 2GB 제공에 월 12,100원이다. 더 아낄 수 있다.

 

2. 체크카드 변경

  현재 <산업은행 체크카드> 기본형을 쓰고 있다. 원래는 <현대카드X체크>로 가려고 하다가 포기했다가, 다시 절약의 일환으로 마음먹고 신청하려고 신청 단계에 가 보니, 새로운 문제가 발생했다.

  <현대카드X체크>가 지금 쓰는 은행인 산업은행에 연동되고, 조건 없이 무조건 사용액의 0.3%를 캐시백해 주는 것이 큰 강점이다. 그런데,,,

   연회비 2,000원이 부과되고, 사용내역 알림문자가 조건에 따라 월 300원이 부과되는 문제가 있었다.

   기존 <산업은행 체크카드>가 현재 사용패턴에는 맞지 않지만, 사용내역 알림문자가 무료다. 연회비도 없다.

   캐시백이 좋아서 넘어가려다가 포기했다. 부가적인 비용이 더 발생하니까.

   결국 <산업은행 Choice 체크카드>를 신청했다. 조건에 맞지 않아도 월 1천원 캐시백이 있다는 사실.

   발급되어 오면 기존 체크카드는 해지해야겠다.

 

3. 신용카드 사용 자제

   현대카드0과 삼성카앤모아카드가 있다. 현대카드0으로 대중교통을 타면 1.2% 무조건 할인이다. 대중교통은 이걸로 타고, 온라인 결제 중 신뢰가 안 가는 거래나 高價의 거래일 때만 현대카드0을 사용하기로 정했다.

   삼성카드는, 주유할인카드이다. 지금 나와있는 카드들 중 前月 이용실적이 가장 적지 않을까 생각한다. 전월실적 20만원(주유비 제외 합산) 이상이면 월 주유 4회 리터당 60원 할인을 해 준다. 카앤모아포인트 적립도 되는데, 5천 포인트가 쌓이면 자동으로 주유할 때에 차감된다. 근데 지금까지는 현대카드0을 써 와서 삼성카드 실적을 채우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그냥 어머니 드렸다. 어머니 쓰시던 카드는 해지하시라 했고, 그냥 내 카드를 생활비 카드로 쓰시게. 월 지출만 내가 신경써서 메모해 놓으면 되겠다 싶다.(벌써 한 달 해 봤음. 할만 함.)

 

4. 저축, 보험

  보험은 고정지출이라 어떻게 할 게 없다.

  저축은 월급 나오는 것 봐서 기존 대비 비율 축소를 해야겠다.

 

5. 기타 문제

  출퇴근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주유비가 다소 늘어난다.

  2교대다 보니 출근시간에는 대중교통이 없고, 퇴근시간에는 대중교통이 있다. 그래서 차를 갖고 다닌다. 直前 직장처럼 주차장이 없어 인근 아파트에 연간 45여만 원대의 돈을 내는 것보다는 낫다. 여기는 주차빌딩이 있으니까. 공짜다.

  하지만 거리의 상승과, 상습정체구간이 있다는 게 문제다.

  연비 깡패인 소형 디젤 수동 차량이라도 힘들다. 10년 타고 팔 건데 아직 6년이 남았다.

  기존 왕복 출퇴근 거리는 약 44km. 바뀐 출퇴근 거리는 약 72km.

  이게 문제인 거다. 정상 이상의 연비는 나온다. 18~20km/L은 나오는데, 길이가 긴 거다. 일단 이번 달 추이를 봐야겠다. 15~17일에 한 번 주유하던 패턴은 분명히 바뀐다.

  소모품도 싼 거로 가기로 했다. 지금까지는 합성유(Kixx PAO C3 5W40)를 넣었다. 디젤차량이라 배기량이 작은데도 5.3L나 들어간다.ㅠ 이제부터는 현대모비스 프리미엄 전용 엔진오일로 바꾸려고 한다. 에어필터는 습식 리필이 2장 있으니 그거 쓰고부터는 그냥 순정 에어필터로 간다. 요거다.

 

  가계부 쓰기도 두렵다.

  체크카드도 잔뜩 긴장하고 쓴다.

  이제는 팍팍한 삶인가 보다.

알뜰폰 통신사 5개월 사용후기입니다.

메이저 통신사의 요금꼼수, 단말기가격 꼼수에 환멸을 느껴 메이저 통신사의 혜택을 모두 버리고 금액만 보고 알뜰폰으로 넘어온 지 5개월째입니다.


저희 가족은 모두 SKT를 썼습니다. 당시 사용량은 이렇습니다.

저는 월 29,700원 정도를 냈고-통화량 300분대, 문자량 500통대, 데이터 700MB대 사용

어머니는 월 25,000원 정도를 냈고-통화량 700분대, 문자량 50통대, 데이터 0MB 사용

아버지는 월 19,000원 정도를 냈습니다-통화량 5분대, 문자량 30통대, 데이터 400MB대 사용(+복지할인)


현재는...

저 : 헬로모바일(KT) '착한 페이백 데이터 유심 2GB'(무약정) 요금제

   통화, 문자 무제한, 데이터 2GB에 월 35,900원이나, 데이터는 안 쓰면 1MB=10원으로 계산해서 당월 요금에서 차감됨.(=페이백) (잔여데이터 이월 불가)

   월평균 15,600원대 납부

어머니 : 스마텔(SKT) '유심전용데이터 300MB'(무약정) 요금제

   통화, 문자 무제한, 데이터 300MB. 월 20,900원

   LG G2이다 보니 SKT 회선 외에 다른 회선 유심카드 호환 불가로 어쩔 수 없이 SKT 알뜰폰 사용중.

아버지 : KTm모바일(KT) '실용유심1.8'(무약정) 요금제

   통화 망내무제한, 망외 130분, 문자 무제한, 데이터 1.2GB(잔여데이터 이월). 복지할인 없이 월 15,290원.


저는 기존에 KT 회선에 대한 편견이 좀 있었습니다.

과거 90년대의 PCS 사용 시절에 통화품질이 너무 안 좋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99년에 SKT로 넘어와서 지금까지 죽 SKT를 썼던 겁니다. 그 이유로 통신사 이전에 많이 고심했습니다. 제 사용패턴이 통화 위주였기 때문입니다.


현재 5개월째 사용중인데, 국제전화 및 로밍까지 사용해 보아서 후기를 씁니다.


장점

1. '요금의 저렴함'이 최고 장점입니다.

  저희 가족 사용패턴이 되게 특이해서, 메이저에서 사용패턴 대비 저렴한 요금제를 맞추기 힘들었습니다. 그런데 알뜰폰으로 넘어와서는, 사용패턴에 맞는 저렴한 요금제가 너무 많아 뭘 고를까 고민합니다.

2. 통화품질은 이제 다 고만고만하더군요. SKT나 KT나 비슷해요.

3. 부가서비스는 메이저보다는 적지만 실생활에 필요한 부가서비스는 다 있습니다.(발신자표시, 익명호수신거부, 로밍데이터 차단 등등)

4. Wi-Fi는 지하철이나 공공시설에서 메이저 통신사 무선망을 수신합니다.

5. 로밍통화, 로밍데이터 사용 부분은 원래 회선 대여사인 메이저 통신사의 정책을 따릅니다.(전혀 문제 없음)


아쉬운 점

1. 콜센터 통화가 엄청 어렵습니다.

  CJ헬로모바일이나 KTm모바일은 쉬울 줄 알았습니다. 알뜰폰에서도 대기업급이니까요. 근데 완전... 힘듭니다.

  (1) 헬로모바일

     온라인 답변이 매우 신속하고(아침에 문의하면 오후에 답변, 저녁에 문의하면 다음날 11시 이내 답변), 전화문의는 평균대기시간 5분 이상이고

  (2) KTm모바일은 온라인 답변도 느린 편이고(답변에 보통 3일 이내), 콜센터는 단 한 번도 통화해 본 적이 없습니다. 아버지 폰 개통시 유심 수령 후 60통 가까이 해서 겨우 통화되어 개통했습니다.ㅠ

  (3) 스마텔은 소기업인데 온라인 답변은 아예 없고, 전화통화는 생각보다 대기시간이 짧습니다. 2~3분 이내. 온라인 문의는 카카오톡 질의가 빠른 편입니다. 지난 달에 해외 체류시 로밍데이터 부분에 오류가 있어 문의했더니 신속하게 처리해 주시더군요.

  (4) 오프라인 대리점 찾기는 정말 어렵습니다.

   비용 절감 등을 위해 대리점이 많지 않습니다. 대부분 온라인으로 가입 등을 해야 합니다.


2. 사용량 확인 앱 부족? 부실?

 (1) 헬로모바일, KTm모바일

   iOS나 안드로이드 대응 통신사 어플리케이션은 있으나, iOS 대응 위젯은 없음. 안드로이드 대응 위젯은 있음.

 (2) KTm모바일

   iOS나 안드로이드 대응 통신사 어플리케이션도 있고, 안드로이드 대응 위젯도 있음. (좋음^^)

 (3) 스마텔

   iOS, 안드로이드 대응 통신사 어플리케이션 없음. 위젯도 없음.

   도돌폰3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해야 하나 (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든 알뜰폰 요금제에 대응하지 않음.

 

3. 새 폰(새 공단말기)으로 개통 불가

 (1) 이게... 메이저 통신사가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한 정책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마트에 가서 새 공단말기 사서 알뜰폰 통신사로 개통이 불가능하다는 겁니다.

   '개통이력'이란 게 필요합니다. 메이저 통신사에서 최소 하루 이상 사용한 이력이 있어야 합니다.

   KT 본사 직영 대리점에서는 요청하면 '개통이력'이란 거를 만들어준다고도 하는데 그렇게 하는 데는 많지 않다 합니다. SKT는 나몰라라 하고요. LG U+도 마찬가지.

   지인의 메이저 통신사 유심을 꽂아서 5분 이상 유지하면 된다는 얘기도 있는데 되는 폰도 있고 안 되는 폰도 있다 합니다.

 (2) 결국, 알뜰폰에서 새 폰을 쓰려면 가개통폰을 사는 수밖에 없습니다.

   저도 아이폰6S를 SKT에서 개통해서 쓰다가 알뜰폰으로 넘어갈 때는 무리가 없었으나,

   안드로이드폰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가개통폰을 샀습니다. 현재 저는 은하수 J5 2017 가개통폰을 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단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알뜰폰을 선호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이렇습니다.

1. 내 사용패턴을 요금제에 맞출 필요가 없다는 점. 내 사용패턴에 맞는 요금제는 엄청 많더라.

  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 운영하는 '알뜰폰허브'(http://www.mvnohub.kr )에서 요금 맞춤검색이 가능.

2. 지X맞은 통신사 약정제에 끌려다니지 않아도 됨.(가입 후 3개월이 의무약정기간. 그 이후에는 다른 통신사로 넘어가도 됨.)

3. 메이저 통신사 대비 저렴한 요금제를 무약정으로 쓸 수 있다는 점.

 


이 정도입니다.

처음에 넘어갈 때는 많은 두려움을 안고 넘어왔는데

이제는 뭐 익숙해져서 편합니다.

 


알뜰폰 고려하시는 분들 참고하세요.

저는 또 사용패턴이 바뀌어서(이직에 따른...) 더 싼 요금제를 둘러보고 있습니다.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