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CG(World Community Grid) 연구프로젝트 서버가 재가동을 시작했습니다.

오늘 낮까지도 감감무소식이어서 거의 반 포기하고 있었는데,

좀 전에 다시 시도해 보니 정상적으로 아래와 같이 데이터를 받아오네요!

 

단, 기존의 BOINC에 등록되어 있는 WCG 주소를 변경하셔야 합니다.

BOINC manager를 열고 기 등록되어 있는 World Community Grid를 삭제하세요.

그리고 [도구 > 프로젝트 추가]를 클릭하여 아래 메뉴가 나오게 하고

기존처럼 프로젝트 과제를 선택하지 마시고,

프로젝트 URL 오른쪽의 공란에 https://master.worldcommunitygrid.org/ 라고 입력합니다. 이거로 주소가 변경되었다고 BOINC 공지사항에 뜹니다.

그런 다음 '다음'을 눌러 진행하시고 기존 계정을 로그인하시면 정상적으로 작업을 받아옵니다.

연구과제는 혹 제가 특정한 것을 못 받아올까 싶어 모든 과제에 V표시를 해 놨는데, 코로나 유전자 분석 과제만 받아오네요.

 

이제 코로나 바이러스 유전자 분석을 위해 폴딩앳홈과 WCG를 같이 돌리게 되었네요.

WCG에 누적데이터가 상당히 많아서 종료될까 두려워 걱정이 좀 있었는데 한시름 넘겼습니다....만, 복불복인 듯합니다.

집의 두 번째 PC에서는 여전히 못 받아오고, 관련 커뮤니티에 글을 띄웠는데, 작업 못 받아온다는 사람들이 대다수입니다.

 

2022.07.07. KST12:18 현재

작업 완료된 데이터를 1시간여 째 서버가 가져가지 못하고 있습니다.ㅋㅋ

캐나다놈들... 마이그레이션 날짜 약속도 안 지키고 1년 내내 뮝기적거리는구나...ㅋㅋㅋ

서버 이전 마이그레이션 작업 시작일 : 올해 2월 20일경. 작업 완료 약정일 : 4월 마지막 주. 근데 지금 7월인데도 저따위임...ㅋㅋㅋ

폴딩앳홈은 아무 문제 없이 열일하고 있습니다.

 

2022.07.13. KST14:01 현재 BOINC 공지사항

World Community Grid: Notice from BOINC
This project seems to have changed its URL. When convenient, remove the project, then add http://www.worldcommunitygrid.org/
2022-07-13 오후 2:01:24

다시 바꿔 주세요~

좀 전에 캐나다 크렘블 연구소에서 메일이 왔습니다.

미국 측 연구소로부터 법적인 이전은 마쳤고, 시스템 최종 이전을 위한 작업(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하느라 시스템을 잠시 중단한다고 합니다.

2월 14일 작업 단위 발송 중단
2월 27일 작업 단위 수신 중단
2월 28일~4월 22일 WCG 누리집 중단. 간소화 버전만 운영. 2022년 진행상황과 로드맵만 제시 예정. 데이터 접근 불가.
4월 말 개시 예정

 

참여자는 별도로 조치할 것은 없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s://www.worldcommunitygrid.org/about_us/article.s?articleId=757&messageId=768061.1113.1644463591805&utm_source=pause2022&utm_medium=email&utm_campaign=pause&utm_content=body-article-link 

 

WCG Data Transfer Underway, Stress Test of New Infrastructure Scheduled For Feb 28th

We have started to transfer data for all active WCG projects to the Krembil Research Institute. We are gearing up to start testing the whole system on February 28, 2022.

www.worldcommunitygrid.org

당분간 로제타앳홈으로 넘어가야겠습니다.

 

10년 3개월 26일만에 WCG 1천만 크레딧을 달성했네요.

그동한 수많은 컴퓨터가 거쳐갔는데...

1997년에 SETI@Home으로 분산컴퓨팅에 입문해서 지금까지 참여한 중에 가장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합니다.

 

현재 집에서만 WCG를 돌리고 있으며, 아래 두 대를 사용중입니다.

AMD Ryzen 5 3500(Matis / 6core) + RAM 16GB + Nvidia GeForce GTX1060 3GB

intel Pentium G4500(Skylake / 2core) + RAM 8GB + Nvidia GT630 1GB

 

현재 COVID-19 분석프로젝트만 돌아가게 설정해 놨는데, 좀 지겹네요. 유의미한 결과도 없고 해서요.

그래서 전부터 마음먹었는데, 1천만 크레딧 돌파하면 다른 분석프로젝트까지 풀기로요.

 

오늘부터 Mapping Cancer Markers(암세포 분석), Help Stop TB(결핵 중지를 도와주세요), Africa Rainfall Project(아프리카 강우량 프로젝트)에도 다시 참여해야겠습니다.

 

분산컴퓨팅 연구과제에 관심있는 분은

BOINC http://boinc.berkeley.edu 또는

세티카 http://cafe.naver.com/setikah 를 참고하시고

COVID-19 분석 연구과제 참여는

boinc를 내려받아 설치하시고(설치방법은 세티카 참조)

https://www.worldcommunitygrid.org/ 를 참고하세요.

 

지금도 전 세계의 수많은 개인용 PC가 무료로 유휴메모리를 연구과제에 기부하고 있습니다.

내 컴퓨터로 COVID-19 퇴치에 기여하는 방법입니다.


BOINC(분산컴퓨팅 프로그램)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컴퓨터의 유휴 자원을 활용하여 서버로부터 연구과제를 받아 분석하여 다시 서버로 보내주는 방식으로 연구과제 수행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자원봉사확인서 같은 것은 없지만 일종의 재능기부라고 할까요. 전세계적으로 많은 연구과제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Korea@Home이라는 이름으로 2000년대 초반까지 연구과제를 수행했었으나, 爲政者들의 무지함으로 예산을 줄여 서버를 없애버리는 만행(?)으로 없어진 지 오래입니다.


현재 BOINC 연구과제 중에 COVID-19 퇴치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연구과제는


Rosetta@Home(로제타앳홈)입니다.

로제타앳홈은 애초에 인간 난치병의 단백질 구조를 분석, 예측하여 치료법을 연구하는 연구과제입니다.

미국 워싱턴대학의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AIDS/HIV, COVID-19, 말라리아, 에볼라, 전립선암 및 각종 암,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탄저균(탄저씨병, 탄저병), 기타 바이러스(Other Virus) 등의 질병 연구와 치료제 개발 목적의 기초 연구를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현재 로제타앳홈을 통해 COVID-19의 단백질 구조 모델링이 완료된 상태로 추가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IBM이 주도하는 World Community Grid(WCG)가 COVID-19 퇴치 연구에 참여하려고 데이터를 만드는 중입니다.

WCG는 공익을 위한 비영리를 목적으로 초기 암, HIV/AIDS, COVID-19, 에볼라, 소아암, 근육병, 뎅기열, C형 간염, 웨스트나일, 황열병, 말라리아, 리슈마니아증(리슈만편모충증), 인간단백질 재분석 등 치료제개발 연구 및 차세대 에너지개발, 오염수 식수정화 연구 등 개발연구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저는 WCG와 SETI@Home만 참여하다가 SETI@Home이 중지되는 바람에 로제타앳홈을 추가로 받아 가동시키고 있습니다.


참여방법은 분산컴퓨팅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BOINC)을 내려받아 본인 PC에 설치하고 위에 제시한 연구프로젝트를 추가하면 됩니다.


컴퓨터의 유휴 시간에 가동되게 할 수도 있고, 저처럼 컴퓨터가 켜져 있는 시간 동안 Full로 가동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환경설정에서 메모리 가용 할당량도 조절할 수 있으니 편한 대로 하시면 됩니다.

단, BOINC와 게임을 동시에 구동하면 게임이 영향을 받는 경우도 있으니, 이점 감안하셔서 사용하세요.


저의 경우, WCG 데이터 누적 처리량은 오늘자로 전세계 11,835위에 랭크되어 있고,(2011년 08월부터 참여) 국내 최대 팀인 SETIKAH@Home팀에서는 137위에 랭크되어 있습니다.

현재 컴퓨터 3대에서 가동시키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폰(공기계)에서도 가동시켰는데, 배터리가 사망함에 따라 이는 중지한 상태입니다.

  PC1. CPU AMD Ryzen5 3500 + RAM 16GB

  PC2. CPU AMD 200GE + RAM 8GB

  PC3. CPU intel G4500 + RAM 8GB


[관련 사이트]

BOINC 내려받기 : https://boinc.berkeley.edu/

BOINC 연구과제 설명(한국어판) : Team SETIKAH http://cafe.naver.com/setikah - BOINC 연구과제에 대한 한국어 소개자료로서는 가장 전문적이고 상세함.

Rosetta@Home : http://boinc.bakerlab.org/rosetta/

World Community Grid : https://www.worldcommunitygrid.org/

'IT,물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이팔 피싱메일 주의!  (0) 2020.04.15
크레마 카르타 뷰어 변경  (0) 2020.04.12
브리츠 이어폰 AS 지연-COVID-19로 인함.  (0) 2020.03.28
폰 교체 고민  (0) 2020.03.07
QC없는 USB 멀티충전기 고르기  (0) 2020.03.01

한국 슈퍼컴퓨터 5호기가 6월부터 가동을 시작한다고 합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0&aid=0003125880&viewType=pc&rc=N


세계 10위권이라고 엄청 자랑하는데,

기사에 대한 댓글은 그닥 좋지 않습니다.


저도 보면서 短想을 해 보았습니다.

저도 씁쓸하고요.

슈퍼컴퓨터의 연산을 증폭, 가속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우리나라는 왜 그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지 참... 안타깝습니다.

 

전에 몇 번 언급한 적이 있는데, '분산컴퓨팅'(BOINC)이 그것입니다.

인터넷에 물려있는 PC들에 화면보호기 형식으로 데이터를 보내 분석하여 돌려받는 방식.

이건 미국 버클리 공대가 시작한 외계생명체탐색프로그램(SETI@Home)이 그 시초입니다.

푸에르토리코 아레시보 천문대의 전파망원경으로 쏘아올린 전파들 중 돌아오는 것들을 분석하는 건데, 분산컴퓨팅을 하기 전에는 몇십 년간의 전파를 슈퍼컴퓨터 혼자서 몇백 년간 분석해야 한다고 했었습니다. 하지만 분산컴퓨팅을 도입한 지 20년 만에, 현재는 실시간 분석이 진행중입니다.

 


또한 이에 영향을 받아 BOINC라는 구동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세계 총 36개의 연구과제들이 이 방식을 사용하여 많은 연구결과를 도출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잠깐 운영했던 분산컴퓨팅마저도 위정자들의 무지함으로 인해 예산을 삭감 삭감하다가 단절시켜버려 프로젝트가 멈추었죠. 코리아앳홈(Korea@Home)이라는 게 있었습니다. 2000년대 초반에 잠깐 진행했었고, 저도 제 PC로 그 프로젝트에 참여했었습니다.


슈퍼컴을 자랑만 할 게 아니라 우리나라도 분산컴퓨팅과 연계하여 슈퍼컴의 성능을 배가시킬 수 있는 기사가 나온다면 그게 더 좋은, 바람직한 기사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우리나라 인터넷 자원이 세계 최강이라던데 너무 허투루 쓰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저조차도 우리나라 연구프로젝트가 없어서 미국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니 말입니다.(저는 World Community Grid 참여중 - IBM이 서버를 제공하여 진행하는 인류 난치병 세포 분석프로젝트)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약모드 가기  (0) 2018.03.01
재난물품 +α 지름  (0) 2018.02.06
한국만화박물관 사전답사  (0) 2017.12.10
셀프주유소에서 주유할인카드 결제시 에러날 수 있음.  (0) 2017.11.01
올해도 그냥 함...  (0) 2017.11.01
아, 벌써 덥다.
2012. 여름 나의 BOINC 참여를 변경해야겠다.
컴퓨터 본체가 뜨겁다.
SETI@Home의 CUDA 모드 때문에 그런 것 같다.
GTX 560의 위력으로 80만Unit 이상으로 올라갔지만, 발열량은... 엄청나다.
겨울엔 참 따뜻한데, 여름은 완전..찜질팩 하나 끼고 있는 거다. 쿨러는 무용지물.ㅠㅠ

올해 여름은 큰맘먹고 VGA는 사용하지 않는 프로젝트만 하기로 했다.
오늘 과감히 SETI@Home을 지웠다.
현재 World Community Grid만 열심히 돌아가고 있다.
AMD 쿼드프로세서 4개가 열심히... 돌리고 있다.
있는지 없는지 모르게 혼자 잘 돌아가고 있다.

아, 요것도 같이 해야겠다. Climateprediction.net. ㅎㅎ
Einstein@Home도 했었는데, 요것도 VGA를 돌려서...ㅋ

올 여름은 스트레스 받지 말고 나자.
아.. 조습군 방석 사야하나??ㅠㅠ
오늘 운전하는데 대박 짜증나던데.ㅋ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텍스트큐브를 마무리하면서...  (0) 2012.10.04
펀드를 계속 넣어야 하는 이유  (0) 2012.07.31
메일 확인.  (0) 2012.04.16
자산운용의 정리  (0) 2012.04.08
죽 프로젝트 종료  (0) 2012.04.08

기부할 수 있는 곳

< 돈(1만원 이상) >
개인적 관점에서 알아본 바에 의하면, 기독교 관련 단체들은 기부가 우선이 아니라 기독교 복음 전파가 목적이기 때문에 종교에 심취한 분이 아닌 이상은 거부감이 들 수 있음.
http://afterdan.kr/archives/118 요 포스팅을 읽어보시기 바람. 그래서 월드비전은 비추천.
반면, 가톨릭 관련 단체들은 그런대로 봉사의 취지에 충실하게 활동하고 있고, 비교적 재정 상태가 투명하게 운영되고 있음.
개인적으로 관심이 있어서 찾아봤으나 아직 경제적 여력이 부족해 하지 못하고 있는 곳이 대부분임.

성심농아재활원
충북 충주시 소재
가톨릭 법인에서 운영하는 농아 재활원
영화 '글러브'의 실제 모델이 되는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이 재활을 위해 사는 곳
http://www.sungsim4u.or.kr
개인적으로 지인이 근무하고 있어 인연이 되어 2006년부터 월 1만원씩 후원하고 있음.

꽃동네
충북 음성군 소재
가톨릭 법인에서 운영하는 국내 최대의 재활시설이라고 봐도 무방.
http://www.kkot.or.kr
1991년에 돌아가신 친할머니께서 가톨릭에 귀의하신 이후부터 후원하던 곳이라 (좀 늦었지만) 그 뜻을 이어받아 2011년부터 월 1만원씩 후원하고 있음.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종교 무관. 순수 지원단체
http://www.unicef.or.kr
이미 다 아실 듯.

플랜코리아(플랜인터내셔날 한국위원회)
종교 무관. 순수 지원단체
한국전쟁 당시 우리나라 전쟁고아들을 많이 도와줬음.
개발도상국을 지원할 수도 있으며, 월 3만원으로 개발도상국 아이들을 1대 1로 후원할 수도 있음.
http://www.plankorea.or.kr

요셉의원
서울 영등포구 소재
영등포 쪽방촌 독거노인들이나 노숙인들을 돕는 병원
가톨릭 법인에서 운영
http://www.josephclinic.org
관련기사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002190100008&ctcd=C02 참조

수단어린이장학회
기독교인, 가톨릭인, 비종교인 모두 감동적이었던 영화 '울지마 톤즈'의 주인공이신 故 이태석 신부의 뜻을 기리기 위한 장학회
외교통상부에 등록되어 있으며, 이태석 신부가 활동하던 아프키라 수단의 톤즈라는 곳의 아이들을 돕기 위한 장학단체
가톨릭 법인에서 운영
http://frjohnleewithus.com (현재 공사중)
http://cafe.naver.com/WithLeeTaeSuk 참조

한국동물복지협회 자유연대
서울 성동구 소재
연예인 이효리 씨가 유기견 사랑에 앞장서면서 유명해졌음.
http://www.animals.or.kr

국경없는 의사회 한국

국제 민간의료단체. 자세한 내용은 누리집이나,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91754&mobile&categoryId=200001614 참조

http://www.msf.or.kr

< 집에서 몸으로 때울 수 있는 것 >
봉사활동이라고 기관에 가서 대충 몸으로 때우고, 미숙하게 해서 그 사람들 불편하게 하느니, 가진 재능 가지고 편하게 집에서 할 수 있는 것들이 있다.

1. 워드
점자도서 제작을 위한 기본 텍스트를 워드로 입력하는 것.
텍스트(.txt)나 한글(.hwp) 파일 입력이 된다.
전국 점자도서관을 검색 포털에서 검색하여 간단한 교육(입력규칙이 있음)을 받고 점자도서관 지시에 따라 하면 됨.
개인적으로 2006년부터 하고 있음.
부천점자도서관 http://www.pcl.or.kr (현재 이곳은 도서량이 너무 많아 신청을 받지 않음)
그래서 옮긴 곳이 대전점자도서관 http://town.cyworld.com/djbraille 2011년부터 여기서 하고 있음.

2. 컴퓨터 유휴메모리 활용
컴퓨터가 돌아가는 데 있어 놀고 있는 메모리는 분명 있다.
MS-DOS 시절에는 그 치사한... 640KB에 목을 매고 활용에 목숨걸었으나, 윈도 OS로 넘어오면서부터는 그럴 필요가 없어졌다. 윈도7이 되면서 고성능 게임이나 고사양 프로그램을 구동하지 않는 한 메모리가 많이 필요없게 됐다. 그 놀고있는 메모리를 다 활용하자.
분산컴퓨팅 방식으로 학술연구에 내 메모리와 내 CPU 자원을 기부하는 것이다.
미국 버클리대학에서 시작한 외계지적생명체탐색(SETI) 프로젝트에서 시작한 BOINC가 바로 그것이다.
나는 현재 SETI와 World Grid Community(WGC, 신약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SETI는 2001년부터 참여하고 있고, WGC는 2011년 중반부터 참여하고 있다.)
SETI와 BOINC에 대해서는 검색포털에서 찾아보면 많은 자료가 나올 것이다.
BOINC http://boinc.berkeley.edu
참여방법 http://cafe.naver.com/setikah 참조 (가장 잘 정리되어 있음)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유선망으로.ㅎㅎ  (0) 2012.02.24
'우아한 거짓말' 중에서(2)  (0) 2012.02.12
'우아한 거짓말' 중에서  (0) 2012.01.23
미친듯이 프로젝트  (0) 2012.01.18
Metallica - 30th Anniversary celebration gigs  (0) 2012.01.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