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는 회색 사려고 했는데, PC로 접속했더니 모바일 결제밖에 안 된다고 해서 폰에 앱 깔아서 접속하는 사이에 회색이 품절됐습니다. 판매개시 3분만에요.-_-;; 그래서 아쉽지만 금모래색(=베이지?)으로 샀습니다. 사진상으로는 좀 별로라 생각했는데, 받아 보니 나름 귀티가 납니다.
아... 그러고 보니 켄싱턴락이 없네...? 어차피 쓰지도 않을 것이지만.
그리고 얘네 특이한 것이 있습니다. 화면 상단에 웹캠이 있는데, 얘는 웹캠 가리개가 있습니다.
저 라벨 위에 스위치 같은 게 보이실 겁니다.
라벨을 떼고, 스위치를 왼쪽에 가만히 두면, 웹캠을 가려줍니다.
스위치를 오른쪽으로 밀면, 웹캠 렌즈가 보입니다.
어차피 웹캠은 안 쓸 거라, 아 이런 게 있구나 하고 다시 라벨 붙여놨습니다.ㅋㅋ
바로 윈도우 설치 들어갑니다.
구입 전에 설치까지 다 찾아봤는데, 이녀석이 무선랜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안 잡힙니다.
다른 컴퓨터로 레노버 한국 누리집에 들어가서 제품등록 미리 하시고 내려받아놔야 합니다. 안 그러면 낭패 보심... 저도 혹시나 몰라서 옆에 USB무선랜카드 미리 준비해놓았습니다.(넷기어 A6210)
네트워크 접속 없이 OS 설치하세요. OS는 윈도우10, 11 모두 지원합니다.
처음 까실 때에 OS 설치 USB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켜질 때에 F2 눌러서 BIOS 들어가셔서 Security 관련 설정을 Disabled로 바꿔놓고 리부팅하셔야 USB부팅 인식합니다.
윈도우10 설치는 뭐... 10분 정도 걸린 것 같습니다. 그다음에 무선랜 인식하시면 되겠습니다.
제원을 한번 살펴봤습니다.
CPU는 AMD Ryzen5 5500U Lucienne입니다. 웬만한 intel 10세대 계열 CPU(1135~? 계열) 다 씹어먹습니다.
벤치마킹에서도 월등한 성능을 보입니다.
4,5년 충분히 씁니다.
램은 이렇게 뜹니다.
이 제품이 램 8GB로 나옵니다.
온보드 4GB + 슬롯 4GB입니다. 아래는 슬롯의 램만 인식하는 겁니다.
즉, 이건 뭐냐, 나중에 느리다고 생각하면 내가 램만 사서 갈아낄 수 있다는 겁니다.
웹서핑 중에 보니 4GB + 32GB = 36GB로 쓰는 분도 계시더군요.
일단은 뭐 이정도로도 일반용도는 수월하니 그냥 쓰다가 나중에 느리다고 생각되면 16GB 하나 사서 바꿔끼울까 합니다.
무선랜은 바라지도 않았던... Qualcomm Atheros QCA61x4A가 들어가 있습니다. intel AX200까지는 생각지도 않았는데 의외의 물건이 들어가 있네요. Wi-Fi 5까지만 지원됩니다.
위에서 특이한 게... SSD입니다. 궁금해서 CrystalDiskInfo를 실행해 봤습니다.
SSSTC가 어디지??
구글링해 보니, 과거 Lite-On의 SSD 사업부문이었다가 Toshiba의 Kioxia SSD 사업부로 넘어간 회사라고 합니다. 실리콘모션의 칩을 쓴다고 하는데, 귀찮아서 안 뜯어봤습니다.
저장장치는 256GB인데 뭐, 나중에 모자르면 2.5" SATA SSD 하나 더 추가할 수 있습니다. 하판 뜯기가 용이해서요.
터치패드는 좀 짜증이 납니다.
일반적인 터치는 무리가 없는데, 좌우 하단... 좌클릭, 우클릭은 패드가 고장났나 싶을 정도로 꾹 눌러서 써야 해요. 처음엔 불량인 줄 알았습니다. 꾹 누르면 딸깍 소리가 나요. 그러면 인식된 건데, 진짜 뭐 진흙 수렁에 한없이 빨려들어가는 느낌으로 눌러야 합니다.-_-;;
무게는... 포터블의 한계 기준이 1.5kg이라고 하는데, 이 1.39kg는... 정말 애매한 무게입니다. 무거운지 가벼운지 딱 그 중간에 있습니다. 그나마 플라스틱이라서 가벼운가...
사운드는 좀 의외입니다. 개나소나 온보드용인 리얼텍이죠. ALC3287이 들어갔는데, 당연히 안 바라죠. Sound Blaster에 길들여지면 그 외에는 다 '개나소나'가 됩니다. 그.런.데....
아... 이녀석이 노이즈캔슬링과 돌비를 지원합니다.
무선이어폰으로 들으니 놀라운 음장효과가 나옵니다. 꽤 들을만 합니다.
그리고 당황했던 것 하나...
내가 분명히 외출할 때에 끄고 덮개 덮고 나갔는데, 집에 와서 노트북을 켜려고 덮개를 올리니 이녀석이 자동으로 켜지는 겁니다. 몇 번을 다시 해도 이모양 이꼴... 화면이 잘못 만들어졌나, 버튼이 잘못 만들어졌나...
아... 망했다. 뽑기 운이 없었네... 반품해야 하나 싶었는데, 검색해 보니, 레노버 BIOS에 있는 기능이랍니다.
안 쓸 거면 BIOS-Configuration 에서 Flip On 기능을 해제하시면 됩니다.
일단 가격이 깡패라 HP fq2021au랑 한참 고민하다가 이리로 왔습니다.
AS는 극악이라 바라지도 않고, 그냥 잘 돌아갔으면 좋겠습니다.
세부 사양은 이렇습니다.
CPU AMD Ryzen5 5500U
RAM 8GB (온보드4+슬롯4)(슬롯은 다른 램으로 변경장착 가능)
SSD 256GB NVMe (변경장착 가능하고, 추가로 2.5" SATA 슬롯 있음)
Wi-Fi 5, Bluetooth 4.1
1.39kg
324.2 x 215.7 x 19.9mm
배터리 38Wh(조루라는데?)
65W 어댑터
2년 보증(전체 1년+보드 등 핵심부품 1년으로 2024.02.까지로 뜸. 제품등록시 영수증 첨부 제시하면 확인 후 구입일로부터 2년 보증 적용)
레노버의 하급 라인이지만, CPU도 중급기가 들어갔고, 램과 SSD 확장성이 좋다는 것, 가격이 좋다는 것.
책 겉장의 작가 소개에 보면, 작가는 일본에 200번을 다녀왔다고 한다. 그래서 꽤 존경심을 갖고 읽기 시작했는데, 그 정도의 수준에서 쓰여진 책은 아니라는 게 책을 덮는 시점에서 느낀 점이다. 다른 나라 소개서는 대부분이 자기가 본 방향에서 자기 생각만 쓰여진 게 대부분이라서, 정말 폭넓게 다독과 정독을 병행하지 않으면 실체를 잡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정말 단편적인 몇 가지 내용만 가지고 다른 나라, 특히 일본을 판단하는 것은 정말 위험한 일이다. 고대부터 우리 민족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이 정도의 문화 소개서 같은 책을 쓰려면 전후사실관계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써 줘야 맞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일본관계 서적, 전문서, 논문까지(특히 문화, 역사, 생활 전반) 다독과 정독을 병행해서 읽은 나로서는, 읽으면서 헛웃음만 나는 부분도 많았다. 이게 일본 소개 서적인지, 혐일 서적인지 알 수 없는 내용부터, 주제를 알 수 없는 엉뚱한 발언까지 등장하고, 급기야는 독자에게 잘못된 지식까지 전달하고 있어, 이 책을 대체 왜 썼는지 모를 정도였다.
몇 가지 짚어보자. 재일동포가 북한 국적이라고? 이건 어디서 들은 말일까?? 방송사 피디라는 양반이 미디어도 접하지 않은 것인가. 몇 년 전 모 방송사에서 축구선수 정대세를 인터뷰한 내용 중에도 있었다. 기자가 '당신은 왜 북한 대표로 뛰었습니까? 북한 국적자입니까?'라고 물었는데, 그는 당당히 조선 국적자라고 말했다. 한국 대표로 뛸 수도 있었지만 나를 받아준 곳이 북한이어서 북한 대표로 뛴 거라고.
그렇다. 재일동포는 조선 국적자다. 한국과 북한은 이념으로 갈라진 국가 구분이어서 그것을 선택하지 않고 그 이전 시대인 조선을 선택한 것이다. 다른 학자들이 쓴, 수많은 일본 관계 서적을 찾아봐도 다 그렇게 되어 있다. 사실을 검증하고 쓰지 않은 책은 독자들에게 큰 혼란과 오해를 안겨줄 뿐이다. 이 부분이 가장 큰 옥에 티였다.
그나마 가장 잘 쓴 부분은 정치, 경제 부분이다. 지면상 다 못 적은 부분도 있는 것 같은데 비교적 바로잡힌 관점에서 쓰였다. 하지만... 감정이 너무 실려 있어서 보기 안좋았던 부분도 있다. 또한 일본민족의 특성과 관련한 그들의 코로나 대처 방식에 대해서도 여기저기서 주워들은 내용을 종합해서 비난 일색으로 사실을 나열했을 뿐, 이게 어떤 상황과 관련이 있는 건지 뜬금없는 부분이 많았다.
그러다 보니 챕터별로 썼다기 보다는 본인 감정의 흐름대로 나열했다고 보여지는 부분이 책 전체에 퍼져 있다.
그리고, 글 쓰는 방법은 좀 고치셔야 할 것 같다. 온라인에서 유명한 사람이라고 하던데, 그것과 글쓰기는 엄연히 다른 영역이다. 마치 대화하듯이 명사로 끝나 버리는 종결형이 너무나 많다. 한참 몰입해 있는데, 정상적인 종결어미나 서술격조사로 끝나지 않고 문장을 마무리해버린다든가, 입으로 말하던 방식 그대로 조사를 빼먹은 문장을 남발한다든가. 당신은 편할 지 모르겠지만, 독자 입장에서는 가독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부분이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에 새로 접한 정보만 감안해서 별 5개 만점에 2개 준다.
일본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싶고, 더 깊이 이해하고 싶다면 이 책은 추천하지 않겠다. 일본에 17번 다녀온 나보다도 더 일본을 모르는 사람이다. 여행은 다녀올 때마다 궁금했던 점을 찾아보고 보강해서 그 다음에 나가는 게 맞는 거다. 이 저자는 200번을 다녀와서 그거로 끝내는 게 아니라 보강학습을 해야 하는데 그런 측면은 보이지 않았다. 본인 스스로가 '덕후'라고 칭하는데, 푸훗... 그 정도는 아니다.
수박 겉핥기식으로 호도하는 내용이 많아 권하고 싶지 않다. 관련된 다른 책들을 많이 읽은 다음에 이 책을 읽기를 권한다.
아무리 관심분야 책이어도 내용이 별로면 본 뒤에 바로 알라딘 중고서점에 팔아버리는데, 이 책도 그 부류에 들어간다.
베어본이다 보니 점검할 수 있는 게 한계가 있죠. 하여튼 할 수 있는 데까지 해 봤습니다.
1. 연결선 다 뺐다가 끼고 전원인가했으나 여전히 조용함.
2. 어댑터 체크하니 정상
3. RAM 지우개 신공으로 1개씩 바꿔끼우면서 해 봤으나 여전히 안 됨.
모든 증상이 전원단 문제였습니다. ITX 보드에 외장 어댑터인데 어댑터가 정상이니 메인보드 고장이라고 확신했습니다.
이미 보증기간이 지난 터라, 유통사(에즈윈)에 연락해 보니
수리가 아니라 부품 맞교환이더군요. ITX메인보드 맞교환비는 70,000원에 왕복택배비 본인부담이라서, 그냥
새로 부품을 샀습니다.
기존 부품 중 몇 개는 활용할 거라 그에 맞춰서 사게 되었습니다.(CPU, SSD, M.2 무선랜카드)
CPU 쿨러는 내 PC의 순정쿨러(Ryzen5 레이스쿨러)가 있어서 그거를 쓰기로 하고요.
RAM 삼성전자 DDR4-3200 8GB 메인보드 ASUS Prime A320M-K 대원CTS 케이스 앱코 Ncore Nbox 탱고 - 크기는 최대한 작게 하느라 전원공급장치 잘만 Wattbit II 400W - 지금 잘만 500W 쓰고 있는데 꽤 쓸만해서 이번에는 잘만 사용.
------------------ 합 택배비 포함 154,800원
거기에... intel AX200NGW 무선랜카드를 그대로 활용하려다 보니 PCI-e 어댑터가 필요하더군요.
서평 쓰기 응모에 참여할 기회를 만들어준 네이버 카페 '바이러스 제로'와 서평용 책을 무료로 제공해 주신 '영진닷컴'에 감사드린다.
내가 인터넷의 기본 원리에 대해 접한 게 1996년이다.
대학교 4학년 봄에, 다니던 대학에서 지역주민을 위한 인터넷 기본이론 교양강의가 개설되었다. 그때 내가 다니던 대학은 거점 국립대여서 당시로서는 최고로 빠르다는 T2 회선이 들어와 있었다. 이게 6.312Mbps밖에 안 되는 속도지만, 1996년에 T2 회선은 어마어마한 속도였다. 3년 뒤쯤 T3 회선(45Mbps)까지 도입됐었다.
교육망이어서, 우리 학교 망이 끊어지면 도 내의 모든 교육기관 회선이 끊어졌고, 우리 옆 대학도 우리학교에서 회선이 나갔는데, 우리 학교의 절반 정도 속도밖에 나오지 않았다. 그만큼 좋은 인터넷 환경에서 이론을 배웠다.
당시 나는 웹브라우저는 Netscape 2.0, 3.0Gold(유료판), 메일은 Eudora, (학술)정보 검색은 Archie, 커뮤니티는 천리안을 이용했었다. 우리 대학 어문계열 전공자 중에 이 수업을 들은 자는 내가 유일해서, 대학원까지 2,3년 동안 정말 여기저기 불려다니면서 회선도 봐주고, 인터넷 세팅도 해 주고, 점검까지 다 해 주고 해서 알바비도 쏠쏠했고, 배도 고프지 않았던 게 기억난다.
그때 배웠던 이론과 실습 지식을 가지고 26년째 웬만한 인터넷 관련 지식을 습득, 이해했으나 이게 어느 선부터 한계에 부닥치기 시작했다. 뭔가 체계화하고 싶은데 인터넷 관련기술 자체가 어마어마하게 확장되어 무슨 자료를 먼저 보아야 하는지 모르는 상황이 되어 버린 것이다.
그렇게 뭘 할까 고민하며 시간이 흐르다가 이 책의 서평단에 당첨이 되었다.
내가 궁금해했던 모든 지식을 간단명료하게 요약을 해 놓아서 딱 마음에 들었다.
책은 번역서이다. 하지만 그림이나 도식, 픽토그램을 잘 활용하는 일본 서적이어서 그런지 웹 구조에 대해 이해하기 매우 쉽게 도식화가 잘 되어 있다. 요즘 올인하는 일본어 공부 관련 서적도 이런 게 참 많아서 공부하기가 좋은데, 웹 관련 서적도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든다.
또한 요즘 번역서들 중에는 구글 발번역 수준의 번역문이 난무하는데, 이 책은 한국어 문맥에 맞게 번역이 매우 잘 되어 있고, 교정, 교열도 비교적 완벽해서 읽기에 전혀 무리가 없었다.
대상 독자는
1. 웹 기술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배우고 싶은 분
2. 웹사이트, 웹애플리케이션 등을 시작하고 싶은 분
3. 클라우드를 포함한 용어, 기술, 동향을 확인하고 싶은 분
4. 웹을 활용한 비즈니스를 검토하고 싶은 분
이라고 나와 있는데,
용어조차도 아예 모르는 컴알못 초보자 수준에서는 다소 어렵지 않은가 싶다. 기본 용어도 좀 알고 웬만큼 궁금증을 갖고 있는 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준으로 쓰여 있다.
이 책의 특장점은 이것이다.
짝수 쪽은 설명, 홀수 쪽은 도식이다.
설명은 중언부언 잡다한 말이 없이 딱 할 말만 했다. 그래서 매우 명료해서 이해가 잘 된다.
도식은 그 명료한 설명을 도식화시켜서 데이터의 흐름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표현했다.
그렇기에, 이 책만 읽으면 웹 구조의 기본을 머릿속에 정리할 수 있게 만들어놨다.
매우 잘 정리된 요약문제집이라고 보면 될 듯하다.
총 9개 장, 98개 소단락에서 웹의 최신 동향부터 세부기술까지 머릿속에 쏙쏙 집어넣을 수 있게 요약정리를 해 놓아서 그동안 온라인에서 주워들은 지식들을 일목요연하게 체계화할 수 있게 쓰였다.
그렇기에, 세부 적용 기술에 대해서까지 이 책에서 요구하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한다. 그런 기술을 배우기 위해서 기초를 다지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조금 아쉬운 점이 있다면,
책의 판형이 신국판(152×215mm)이라는 것이다.
짝수 쪽은 읽는 데에 무리가 없으나, 홀수 쪽은 글자가 너무 작고 오밀조밀해서 읽기에 약간의 무리가 있었다.
10~30대까지만을 목표 독자로 설정했다면 전혀 문제가 없겠지만,
노안이 진행되고 있는 나 같은 40대 후반의 독자도 배려를 한다면, 책이 좀 더 커져서 도식이 커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문해력 차원에서 도식은 큼직큼직할 수록 눈에 더 잘 뜨이고 더 이해가 빨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출판사의 책과 비교해서 미안하지만, 개인적인 판단으로는 '거의 모든 행동 표현의 일본어'(사람인, 2022) 수준의 판형이면 딱 적당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신서판, 170×250mm)
영진닷컴 책은 1990년대 중반에 워드프로세서 1급 자격증 응시도서로, 2000년대 중반에 컴퓨터활용능력 2급 자격증 응시도서로 접한 뒤로, 수험서가 아닌 인터넷기술 교양도서로 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주일간 열심히 잘 읽었고, 덕분에 최신 동향에 대해 머릿속에 잘 정리되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검색해 보니 비슷한 시리즈물이 많았다. 시간적 여유가 될 때에 나머지 시리즈도 마저 읽어봤으면 좋겠고, 빨리 전자책으로 나와서 오래 소장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